양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봄미 사업’ 효율성을 높여 확대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봄미 사업은 홀몸 어르신 집에 ‘유케어’ 시스템을 설치해 이상 행동을 감지하고 대처하는 형태다. 사업을 담당하는 종합사회복지관이 유케어(U-care) 시스템을 직접 관리하는 ‘독거노인 응급안전 지역센터’다.
유케어 시스템은 활동량 감지센서와 가스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무선외출버튼, 게이트웨이로 구성됐다. 홀몸 어르신의 활동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1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지역 센터로 보고된다.
![]() |
↑↑ 김혜림 의원 |
ⓒ 양산시민신문 |
갑자기 의식을 잃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최대한 빨리 알기 위한 복안이다. 사회적 단절로 인한 응급 상황과 고독사를 방지하기 위한 노인복지 사업의 일환이다.
현재 홀몸 어르신과 중증장애인 등 모두 1천354명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어르신이 144명에 이른다.
김혜림 의원(민주, 물금ㆍ원동)은 “독거노인은 해마다 늘고 있고, 우울증과 자살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그래서 양산시에서 선도적으로 2014년부터 도입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데 중도포기자가 144명이라면 시스템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박정희 사회복지과장은 “집전화를 반드시 설치해야 가능한 사업이라서 5천원 정도 기본요금이 나오는데, 요금 부담으로 인한 중도 포기자가 있다”며 “또 기계 오작동으로 인해 불편을 호소하며 포기하는 어르신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숙남 의원(자유한국, 비례)은 “고독사 방지 뿐 아니라 가스감지나 화재감지 등 재난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까지 하는 유용한 사업”이라며 “5천원의 비용 부담이 원인이라면 시비로 지원하더라도 중도 포기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