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절의 삽량, 신명의 울림’을 주제로 지난 12~14일 3일간 양산천 둔치와 양산종합운동장 일원에서 열린 ‘2018 양산삽량문화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
 |
|
↑↑ 삽량테마 퍼포먼스 |
ⓒ 양산시민신문 |
|
|
 |
|
↑↑ 양산도서회 회원전, 가훈 써주기 |
ⓒ 양산시민신문 |
|
|
 |
|
↑↑ 평생학습박람회 |
ⓒ 양산시민신문 |
|
이번 축전은 양산의 찬란한 역사인 삽량시대를 재연하고, 김서현 장군과 그의 아들인 화랑 김유신을 미래문화 콘텐츠로 재창조하는 다양한 주제 프로그램과 많은 시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ㆍ전시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췄다.
|
 |
|
↑↑ 삽량문화축전 개막식 불꽃쇼 |
ⓒ 양산시민신문 |
|
|
 |
|
↑↑ 웅상농청장원놀이 |
ⓒ 양산시민신문 |
|
|
 |
|
↑↑ 유스(YOUTH) 콘서트 |
ⓒ 양산시민신문 |
|
12일 오후 2시 충렬사에서 성공적인 개최와 참여 시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서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막이 오른 삽량문화축전은 기존 ‘삽량마을존’에 김서현 장군과 화랑 김유신의 기상을 현대적으로 화려하게 표현한 ‘삽량테마퍼포먼스’, 전국 최고 무인을 뽑는 ‘김서현 장군 전국무과대전’, 익숙한 브릭을 이용해 대형 삽량성을 조성한 ‘키즈삽량성 브릭놀이터’를 올해 주제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
 |
|
↑↑ 키즈삽량성, 브릭놀이터 |
ⓒ 양산시민신문 |
|
|
 |
|
↑↑ 양산시립합창단 가을음악회 |
ⓒ 양산시민신문 |
|
|
 |
|
↑↑ 김길만 작가의 모래조각 퍼포먼스 |
ⓒ 양산시민신문 |
|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잠재된 열정을 마음껏 발산할 수 있도록 기존 3개 무대 외에도 실내체육관 쪽에 프리무대를 추가 설치했으며, 젊은 층을 겨냥한 ‘EDM(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파티’와 끼와 재능을 가진 청소년들을 위한 ‘청소년 갓 탤런트’, ‘유스(youth) 콘서트’, ‘청춘마이크’ 등 프로그램을 준비해 다양한 연령층의 참여를 유도했다.
|
 |
|
↑↑ 김서현 장군 전국무과대전 |
ⓒ 양산시민신문 |
|
|
 |
|
↑↑ 흥청망청&재래시장 소상공인전 |
ⓒ 양산시민신문 |
|
|
 |
|
↑↑ 시민 발길이 끊이질 않는 삽량문화축전 |
ⓒ 양산시민신문 |
|
이밖에 양산시민과 관람객 소원을 적은 5천개의 소망등이 행사장을 화려하게 밝혔고, LED 트리존은 방문객들에게 사진 찍기 좋은 장소로 특히 반응이 좋았다. 아울러 박제상, 김원현, 조영규 등 호국영령들의 충절과 의기를 스토리텔링해 샌드아트 영상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인 ‘삼조의열 충절전’과 김길만 작가의 모래조각 전시는 지나가는 이의 눈길을 끌었다.
|
 |
|
↑↑ 낮보다 화려한 삽량문화축전의 밤 |
ⓒ 양산시민신문 |
|
|
 |
|
↑↑ 김서현 장군 전국무과대전 |
ⓒ 양산시민신문 |
|
|
 |
|
↑↑ 평생학습동아리 경연대회 |
ⓒ 양산시민신문 |
|
삽량문화축전추진위원장인 김일권 양산시장은 “올해 축전은 시간과 예산의 어려움에도 양산의 문화유산과 관광자원을 알차게 활용해 새로운 문화축전으로 거듭났다”며 “성공적인 축전 개최를 위해 뜨거운 성원을 보내주신 기관ㆍ단체와 자원봉사자 그리고 시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내년에는 더 나은 축전으로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
 |
|
↑↑ 삽량문화축전 체험전시전 |
ⓒ 양산시민신문 |
|
|
 |
|
↑↑ 설파 안창수 화백 호랑이 그리기 퍼포먼스 |
ⓒ 양산시민신문 |
|
|
 |
|
↑↑ 삽량문화축전 개막식 |
ⓒ 양산시민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