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산ㆍ경남ㆍ울산이 상생협약을 맺고 동남권 광역철도망 구축에 중지를 모았다. 이는 지난달 통과한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으로 내년 3월 광역교통위원회가 본격 가동함에 따라, 동남권 광역철도를 국토교통부의 광역교통기본계획에 반영해 국비 지원 등 효과를 노리기 위해서다.
하지만 광역철도 노선은 입장이 다르다. 부산시는 국도7호선을 따라 동부양산을 관통하는 광역철도망을, 울산시는 국도35호선의 서부양산을 통한 광역철도망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부산시가 지난 10월 ‘민선 7기 대중교통 혁신 계획’을 통해 부산지역 신설 도시철도 구축망을 내놓았다. 여기에 부ㆍ울ㆍ경 광역철도망 구축의 일환으로 계획한 ‘신정선(웅상경전철)’이 다시 거론됐다.
신정선은 부산 노포~월평~웅상(동부양산)~울산 신정을 연결하는 34.2km 규모 경전철 노선이다. 이 사업은 2003년 부산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포함됐지만, 경제ㆍ타당성이 부족해 사업에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그러다 최근 부산시가 신정선 노선 일부인 노포~월평 구간을 우선 건설하기로 했다. 이후 신정선 연장을 통해 덕계ㆍ용당동을 거쳐 울산까지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에 양산시가 내년 당초예산에 광역철도 건설 기초조사 용역비를 반영했다. 2011년 타당도 조사 결과는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었지만, 최근 웅상지역 개발사업 호재로 인해 경제성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반면, 울산시는 신정선 광역철도에는 관심이 없다. 울산시는 울산 신복로터리~KTX울산역~언양~양산 북정을 잇는 41.2km 구간 광역철도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사실상 울산시내와 KTX울산역을 잇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이는 송철호 울산시장이 ‘김해신공항 결정 과정 부ㆍ울ㆍ경 합동보고회’에서 공식적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이 노선도 2007년 동남권 광역교통을 위해 공동 추진하기로 했던 프로젝트였다. 역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ㆍ타당성이 없다고 나오면서 좌초됐다.
하지만 올해 3월 부산 노포~양산 북정을 잇는 도시철도 양산선이 착공에 들어간 상황이어서 울산까지 잇는 광역철도사업에 불씨가 되살아났다는 분석이다. 이에 지난 7일 윤영석 국회의원(자유한국, 양산 갑)과 송철호 울산시장이 만나 광역철도 건설을 위한 협치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양산시는 어느 노선을 우선순위에 두고 사업을 추진해 나갈지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광역철도망은 말 그대로 양산시 단독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만큼 이웃 지자체와 협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조 단위의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인 만큼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면 우선순위를 정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양산시는 “두 사업 모두 수년 전부터 구상과 추진과 무산을 반복해 왔던 것으로, 사실상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울 정도의 숙원사업들”이라며 “두 사업 가운데 한 개라도 최종 확정되면 양산이 부산~울산 교통망의 중심이자 통합 생활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