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시 아닌 웅상지역, 차라리 부산ㆍ울산으로 편입해달라”..
행정

“양산시 아닌 웅상지역, 차라리 부산ㆍ울산으로 편입해달라”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9/01/08 09:27 수정 2019.01.08 09:27
일부 웅상주민 청와대 국민청원
서부양산과 발전 속도 격차 이유로
생활권 같은 부산ㆍ울산 편입 청원
2010년에도 현 행정구역 개편 요구

김일권 시장 “신도시는 LH 사업,
웅상 개발 결코 뒤처지지 않았다”
웅상주민 “현실성 없는 청원이지만
이번 계기로 웅상 발전 방향 논의”

웅상지역 주민의 정서적 소외감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급기야 국민청원을 통해 웅상지역을 부산이나 울산으로 편입해 달라는 요구까지 나왔다.

지난달 28일 웅상지역 온라인 커뮤니티 ‘웅상이야기’의 한 회원이 ‘같은 양산시이지만 양산 아닌 웅상지역’이라는 제목으로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올렸다.

청원을 보면 “10만여명 인구의 웅상지역은 양산시 소속이지만 생활권은 부산ㆍ울산”이라며 “양산시 공공시설물은 (웅상주민들이) 대중교통 이용 시 1시간씩 걸리는 서부양산에 밀집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금은 세금대로 거둬가고 공공시설물 건설과 지원, 발전은 서부양산에 집중되다 보니 웅상지역 젊은 세대들이 부산ㆍ울산으로 빠져나가는 추세”라며 “기약 없는 발전을 기다리는 것보다 웅상지역을 부산이나 울산으로 편입시켜 달라”고 주장했다.

이 청원은 카페 회원들을 중심으로 7일 현재 2천293명이 동참하며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웅상지역 주민들의 이 같은 편입 요구는 처음이 아니다. 그동안 동서지역 간 격차로 인해 정서적 소외감을 느낀 웅상주민들은 행정구역상 편입이나 독립을 수차례 요구해 왔다.

웅상지역은 1906년 울산군에서 양산군으로 편입됐다. 사실상 오랜 세월 울산과 같은 생활권이었던 셈이다. 더욱이 국도7호선을 따라 남북으로 연결되는 도시 구조로 부산 생활권과도 밀접하다.

ⓒ 양산시민신문

하지만 서부양산과는 천성산을 경계로 사실상 단절된 구조다. 산을 뚫고 터널을 만들어 도로를 연결했지만 부산ㆍ울산권과 비교했을 때 교통 불편이 큰 게 사실이다. 교통 불편으로 인한 교류 부재는 정서적 소외감을 부축인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무엇보다 지난 2007년 단일 행정권을 이뤘던 ‘웅상읍’에서 덕계ㆍ평산ㆍ서창ㆍ소주 4개동으로 분동되면서 웅상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더욱 커졌다. 서부양산의 신도시지역이 행정구역상 읍ㆍ면으로, 분동된 웅상지역과 달리 세금ㆍ교육ㆍ복지 분야에서 여전히 농어촌 혜택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청원에서도 부산ㆍ울산 편입이 안된다면 다시 읍으로 되돌려 달라는 요구까지 나왔다.

이처럼 행정구역 개편 요구가 봇물이 이루자, 시민사회단체가 나서 행정구역 개편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 2010년 웅상발전협의회가 울산대학교 울산학연구소에 ‘생활권과 경제권을 고려한 웅상지역 행정구역 개편의 필요성 연구’라는 주제로 용역을 의뢰했다. 연구 결과 부산시보다 울산시 울주군 편입이 적절하지만, 현행법상 양산시와의 분리가 실현 불가능하다고 분석됐다.<본지 313호, 2010년 1월 5일자>

양산시도 이 같은 편입 요구는 웅상주민들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지난 2일 김일권 양산시장이 시청 출입기자들과 가진 신년 간담회에서 “동부양산 발전이 뒤처진 것처럼 보이는 것은 물금신도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물금신도시 개발은 양산시가 아닌 LH가 주도한 것으로, 물금신도시를 제외한 서부양산의 중앙ㆍ삼성동과 비교해 보면 동부양산이 개발이 더디지 않다는 취지로 말했다.

진재원 웅상이야기 운영스텝은 “다소 현실성 없는 청원일지라도 단순한 정서적 소외감이나 오해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며 “최근 언론보도 등을 통해 나온 부산ㆍ양산ㆍ울산 광역철도망 구축에서 웅상이 또다시 우선순위에 밀리는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는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때문에 “이번 청원을 계기로 웅상지역 발전을 위해 진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깊이 토론하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라며 “현재 온라인을 통해 의견을 모으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공청회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