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한창석 열린한의원 원장 |
ⓒ 양산시민신문 |
|
흔히 ‘오십견’이라고 불리는 어깨 질환은 어깨 근육과 인대 등이 굳고 유착이 돼 있다고 해서 ‘Frozen shoulder(동결견)’ 즉 ‘유착성 관절낭염’이 정식적인 병명입니다. 그러나 50대 전후에 많이 발생하다 보니 쉽게 오십견으로 더 많이 불립니다.
“어깨가 아파서 잠을 잘 수가 없어요”, “어깨를 사용하지도 않았는데, 돌리기 힘들고 아파요”
이렇게 오십견을 앓고 있는 환자분들은 어깨 통증과 함께 팔의 움직임에 제한을 가장 크게 호소합니다. 오십견이 발생하면 어깨가 굳어서 움직이기 힘들고, 굳으면서 극심한 통증이 같이 나타나는데, 외상도 없이 통증만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그 통증을 이해하기 힘듭니다.
오십견 치료에 있어서 환자분들이 치료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오십견을 쉽게 보고 금방 나을 수 있는 질환으로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오십견으로 인해 여러 병원에 다녀본 환자들은 오십견에는 침이나 주사를 맞더라도 효과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십견은 몇 번의 치료로 낫는 경우가 굉장히 드문 질환입니다. 교과서에서 나오는 통상적인 병기조차 1년이나 되며, 그렇듯 오래 걸리는 질환이므로 오십견을 앓고 있는 환자분들은 인내심을 가지고 한 의료기관에서 꾸준히 치료받는 것이 좋은 결과로 나타날 것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오십견은 기본적으로 어혈(瘀血)을 원인으로 봅니다. 단순하게 어깨관절의 유착으로 인한 문제라기보다는 그 유착이 된 원인을 보는 것입니다. 40대 이후에 혈액순환의 저하로 인해 여러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유지해야 하는 어깨 관절의 근육, 인대 등이 말라붙어 유착되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한의학적 치료와도 곧 연결되는데, 혈액순환이 잘 안 돼 뭉친 상태를 어혈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를 풀기 여러 방법을 사용합니다. 뜸이나 온열효과를 통한 국소혈류장애를 개선하고 침을 통해 근육이나 인대의 움직임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오십견 가운데 쉽게 낫지 않는 경우에는 어깨와 팔의 국소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가깝게는 경추의 문제, 넓게는 심폐의 문제까지도 생각해야 합니다. 어깨를 이루는 여러 근육과 인대는 경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목 상태가 좋지 않은 분들은 그 상태를 개선하지 않으면 오십견이 낫지 않습니다.
또한 심폐기능의 하락도 어깨로의 혈액순환을 낮춰 회복기능을 방해하여 치료를 늦추고 병을 오래 끌고 가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깨 질환에 한약치료를 병행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한방치료를 통해 오십견을 앓고 있는 여러 환자분께서 하루 빨리 벗어나기를 기대해봅니다.
|
 |
|
ⓒ 양산시민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