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양산시민신문 |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업체 일자리는 1천810만4천개로, 이 가운데 같은 노동자가 점유하고 있는 지속일자리는 67.7%, 퇴직이나 이직으로 노동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17.4%, 신규일자리는 14.9%였다. 기업체 소멸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일자리는 248만개다.
규모가 작을수록 불안정 일자리 비중이 높았다. 대체일자리나 소멸일자리를 불안정 일자리로 봤을 때 100인 미만 사업장의 불안정 일자리 비중은 30%를 훌쩍 넘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37.3%, 5인 이상 10인 미만 사업장은 36.8%, 10인 이상 30인 미만 사업은 31.5%를 기록했다. 3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은 32.3%였다. 100~300인, 300~500인 사업장도 각각 34.8%, 31.7%였다. 중소기업은 물론 중견기업의 일자리 셋 중 하나는 불안정 일자리인 셈이다.
반면, 500인 이상 1천인 미만은 29.6%, 1천인 이상 사업장은 16.4%로 낮았다. 1천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지속일자리가 소멸된 일자리를 제외한 현재 일자리의 80.9%를 차지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그 비율이 59.9%에 불과했다. 10명 중 6명만 일자리를 유지했다는 의미다.
서 의원은 “국내 일자리가 대규모 기업체에 상당수 몰려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일자리 안정성은 높은 반면, 소규모 기업체는 그 반대로 나타나 ‘일자리 양극화’가 확인됐다”며 “중소규모 기업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에 정책역량을 집중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여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여기서 ‘일자리’는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통계청 자료) 기준 개념으로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위치’를 의미하며, ‘취업자’와 다른 개념이다. 가령 한 사람이 주중에는 회사를 다니면서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한 사람이지만 일자리는 복수(근로일수를 가중치로 적용)로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