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시민신문 |
경남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1일 양산지역 폐기물 처리업체인 NC양산(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산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양산시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친환경자동차 보급,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유도 등을 내놓았다”며 “이는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이 도로이동 오염원이라는 판단에 나온 대책으로 보이는데, 실제 경남도 ‘미세먼지 배출원별 저감대책 수립’ 보고서에 따르면 미세먼지 발생 주요 요인은 제조업 연소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 CleanSYS 측정 결과를 인용해 “양산지역 대기오염물질 주요 배출 사업장(2018년 기준)은 페트로코너지, 양산자원회수시설, NC양산 등 3개 업체가 대표적”이라며 “허용치 기준이라고는 하지만 허용 기준 자체가 국민건강권을 침해하거나 심각하게 우려할 수준으로, 이를 제재하는 적극적 행정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무엇보다 이 자료는 굴뚝자동측정기(TMS)를 설치한 업체에 한한 것으로, 양산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은 765곳에 이르지만, TMS를 설치한 업체는 고작 8곳에 불과하다”며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파악조차 되지 않은 상황에서 내놓은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때문에 이들은 ‘NC양산(주) 소각로 증설 반대’와 ‘어곡 용선산단 지정고시 철회’를 주장하며 미세먼지 주요 오염 배출원인 제조업 사업장이 더는 확대되지 않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TMS 설치 사업장 확대를 위한 예산 확보 ▶사업장 대기오염배출 기준 강화 ▶산림 자원 보존과 확대 대책 수립 등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