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더불어민주당이 국내 첫 매입형 유치원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대통령 공약이 ‘공립유치원 취원율 40% 확대’를 2021년까지 조기 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동시에 서울시교육청이 최근 매입형 유치원 9곳을 확정했고, 2021년까지 30곳으로 늘이겠다고 발표했다. 부산교육청 역시 매입형 유치원 선정 공모 절차에 들어가는 등 전국적으로 매입형 유치원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매입형 유치원은 교육청이 사립유치원을 매입한 뒤 공립으로 전환해 운영하는 형태다. 매입형 유치원이 사립과 공립 양측이 공존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근본적으로 유치원 원아 수가 급감하는 추세인 만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사립유치원이 늘고 있는 까닭이다.
때문에 사립유치원도 매입형 유치원 사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사립유치원 원장은 “설립 초기 수십억원의 투자비용을 인정해 주지 않는 상황에서, 양산처럼 원아 수가 많더라도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양산을 포함한 경남은 5월 중에 매입형 유치원 사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양산지역 상당수 원장이 매입형 유치원 공모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양산지역은 3월 기준 사립유치원 원아 수(6천195명)에 비해 공립유치원 원아 수(1천324명)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공립유치원 취원율 40% 달성을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
지난 2월 경남도교육청은 ‘공립유치원 확대로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높이겠다’며 2023년까지 양산지역에 공립단설유치원 6곳을 추가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발맞춰 양산교육지원청은 오는 2021년 물금지역에 설립 예정인 (가칭)강서유치원을 비롯해 최근 택지개발지구사업으로 신규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예정된 웅상지역과 동면 사송신도시 등에 단설유치원 설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전히 1~2개 이상 단설유치원 추가 설립 계획이 더 필요한 상황으로, 매입형 유치원 사업으로 공립유치원 확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양산교육지원청은 “현재 경남도교육청 차원에서 매입형 유치원 선정기준 수립을 위한 T/F팀을 구성해 논의 중으로, 공립유치원 확대를 위한 하나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공립유치원으로 전환해야 하는 만큼 양질의 유아교육이 이뤄질 수 있는 교육시설과 환경이 갖춰진 사립유치원을 우선 매입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