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빨라진 고령화, 50년 뒤 치매환자 390만명”..
정치

“빨라진 고령화, 50년 뒤 치매환자 390만명”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9/05/28 09:15 수정 2019.05.28 09:15
■ 서형수, 치매환자 발생 추이 분석
2067년 노인인구 21.5%가 치매
“국가 치매종합대책 새롭게 짜야”

 
ⓒ 양산시민신문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해 한국의 치매환자가 오는 2030년 163만명, 50년 뒤인 2067년에는 39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서형수 국회의원(민주, 양산 을, 사진)은 지난 22일 일본이 발표한 ‘연령대별 치매 유병률’을 지난 3월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를 적용해 치매환자 발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한국 치매환자 수는 2020년 100만명(치매유병률 12.3%), 2030년 163만명(12.6%), 2040년 252만명(14.7%), 2050년 350만명(18.5%)에 달하고 2067년에는 390만명(21.5%)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67년 치매환자 수 예측치 390만명은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21.5%에 달하는 비중으로 치매환자가 전체 인구의 9.4%에 이른다는 의미다.

이 같은 추정치는 2015년 정부가 수립한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2020)’의 치매환자 전망치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라는 게 서 의원의 주장이다.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른 치매유병률과 치매환자 수는 2014년 65세 이상 9.6%로 61만2천명이었다. 이를 인구추계에 적용하면 2020년 치매유병률 10.4%에 환자는 84만명, 2030년 10.0% 127만명, 2050년 15.1% 271만명으로 전망했다. 서 의원의 분석과는 16~79만명 정도 차이가 나는데, 여기에는 장래인구특별추계 전망치를 반영하지 않았다.

서 의원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급속한 고령화 추이를 보이는 만큼, 치매국가책임제를 약속한 문재인 정부의 치매 대책에서 훨씬 더 높은 수준의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새로운 인구추계에 걸맞게 치매환자 수와 유병률 전망치를 수정하고 범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