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양산시민신문 |
서형수 국회의원(민주, 양산 을)이 지난 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18 건강보험 주요통계 개요’와 통계청의 ‘5세 단위 연령층별 1인당 평균진료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건강보험 진료비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넘어 40.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5세 단위 연령층별 평균진료비를 함께 분석해 보면, 고령자 안에서도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1인당 평균진료비가 급격하게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실제 65세 이상 전체 고령자의 연간 1인당 평균 진료비는 448만원으로, 64세 이하 비고령자 405만원의 4.3배가 나왔다. 하지만 75~84세 중기 고령자는 529만원 5.1배, 85세 이상 후기 고령자는 712만원 6.8배로 그 부담이 훨씬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고령인구가 늘어나는 2050년까지는 진료비가 계속 늘어나, 2018년 78조원에서 2050년에는 130조원 규모로 늘어날 전망이다.
결국 현재도 고연령일수록 많은 진료비가 앞으로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서 의원은 “의료비는 건강보험진료비뿐 아니라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와 기초생활보장을 위한 의료급여도 포함한다”며 “따라서 장래의 고령자 의료비 부담은 진료비 단가 상승까지 감안하면 이번에 나타난 숫자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고령자 의료비 부담에 대한 준비의 시급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