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은 도의원(민주, 덕계ㆍ평산ㆍ서창ㆍ소주)은 동부양산(웅상) 전담 소방서 신설을 주장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지난 12일 열린 제364회 경남도의회 정례회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동부지역 소방서 신설과 소방인력ㆍ장비 확보’ 관련해 소관부서 입장을 물었다. 성 의원은 앞서 열린 제363회 경남도의회 임시회에서도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소방서 신설을 촉구한 바 있다.
성 의원은 “웅상지역 소방관은 42명으로, 1인당 2천200여명의 주민을 전담하고 있다”며 “이는 경남도내 소방관 1인이 평균 800명을 담당하는 것과 비교할 때 3배나 많은 수준이고, 인구수가 비슷한 인근 밀양시보다 무려 6배나 많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동부양산은 지리적으로 양산소방서와는 무려 22㎞나 떨어져 있어 대형 화재 발생 때 장비와 인력을 제때 지원받지 못해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며 경남도의 소방서 신설과 추진 계획을 물었다.
이에 김성곤 경남도 소방본부장은 “증가하는 소방수요를 감안해 2020년부터 추진하는 ‘제10차 소방력 보강계획’에 동부양산 소방서 설치를 반영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표병호 도의원(민주, 동면ㆍ양주) 역시 송전시설 지중화사업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 |
ⓒ 양산시민신문 |
지난해 10월 제358회 경남도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 이어, 지난 13일 열린 제364회 경남도의회 정례회에서 도정질문을 통해 ‘송전시설 전자파 피해와 지중화사업’과 관련해 경남도 대책과 지중화사업 조치 계획 등을 질의했다.
표 의원은 “전국 송전탑 4만1천401개 가운데 4천404개가 경남에 있고 이 가운데 419개가 양산지역에 설치돼 있으며, 경남도내 765㎸ 이상 송전탑 121개 중 45개가 양산에 있다”며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전국에서 추진된 지역별 지중화사업은 총 44건으로 이 중 18건은 경기에 집중됐고, 경남에서는 불과 4건만이 추진됐다”며 지중화사업에 미온적인 경남도와 양산시 태도를 비판했다.
이에 천성봉 경남도 산업혁신국장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적한) 지난해 10월 이후 송전시설과 지중화율 현황조사, 도내 송전선로 지중화사업 사례 조사, 양산지역 5개 지점 전자파 측정과 지중화사업 추진에 대해 관련 기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