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지난 2016년 고용노동부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으로 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해 무료 무료통근버스를 운행해왔다. 사업 초기 홍보 부족과 운행 시간 엇박자 등으로 이용이 저조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용자들이 꾸준히 늘었다. 특히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이 불편했던 산단 근로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하루 이용자가 230~260여명에 이를 정도였다.
![]() |
ⓒ 양산시민신문 |
하지만 올해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에서 탈락하면서 사업이 폐지됐다. 이에 산단 근로자들은 급히 대체 출ㆍ퇴근 수단을 찾는 등 큰 혼란과 불편을 불러왔다.
정석자 의원(민주, 동면ㆍ양주)은 “미세먼지 저감 차원에서도 자가용이 아닌 통근버스 이용을 권장해야 하는 데다, 수요자가 충분히 있고 만족도까지 큰 사업이었다”며 “국비 지원이 3년으로 제한돼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종료되기 전 예측하고 대책을 세웠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시민 입장에서 이 사업이 국비이건 도비이건 시비이건 상관없이, 그저 갑자기 중단한 황당한 사업일 뿐”이라며 “마치 사탕을 줬다고 뺏은 꼴”이라고 질타했다.
김효진 의원(자유한국, 물금ㆍ원동) 역시 “수요가 충분히 있는 사업이 공모에 선정되지 못해 중단될 상황이면 다른 대안을 충분히 검토했어야 한다”고 지적하며 유료화하더라도 대중교통과 연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일반 버스는 큰 도로만 운행하기 때문에 산단 근로자들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며 “산단 구석구석을 순회하는 마을버스 노선을 새롭게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