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양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양산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생존수영 교육에 대한 행정의 관리ㆍ감독 부실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생존수영 교육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초등학생 수상안전사고 대처 능력을 키우겠다는 취지로 교육부가 시행하고 있다. 다양한 수영법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물에 빠졌을 때 구조자가 올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생존수영 위주로 교육하겠다는 취지다. 현재 3~4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해마다 한 학년씩 추가해 2020년까지 전 학년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더욱이 올해는 유아 생존수영 시범 운영(양산 공ㆍ사립유치원 6곳 참여)도 시작해 생존수영 교육 대상자가 대폭 확대된 상황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정석자 의원(민주, 동면ㆍ양주)은 “양산교육지원청의 초등학교 수영실기교육 사업에 양산시가 해마다 1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고, 수영교육을 진행하는 장소도 (국민체육센터, 주민편익시설, 웅상문화체육센터 등) 양산시 시설”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산시 담당부서는 지도자 수급 여부, 안전요원 배치 등 안전관리, 실기과정 등 관리ㆍ감독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최단오 양산시 체육지원과장은 “사실상 이 사업은 교육청 소관으로, 양산시는 수영장으로 이동하는 교통수단에 대한 지원 정도밖에 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최근 초등학생 수영장 익사 사고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만큼, 우리 시설을 이용하는 아이들 안전을 위한 관리ㆍ감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예산은 주면서 사업은 알아서 하라는 집행부 태도는 큰 문제”라며 “시설도 강사도 부족하다는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더 늦기 전에 합동현장실사 등을 통해 책임성을 가지고 관리ㆍ감독을 해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