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지난달 18일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 달라는 건의서를 환경부에 제출했다. 지난해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결과, 생태적 가치가 높은 금정산 보존을 위해 국립공원 지정 필요성이 입증돼 정부에 정식 건의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금정산 면적은 모두 60.9㎢다. 부산지역 금정구, 북구, 동래구를 비롯해 양산지역은 동면 17.2㎢가 포함됐다. 전체 면적의 28.2%다.
이에 지난해 8월 부산시가 타당성 용역 과정에서 양산시민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한 차례 진행했다. 이날 대다수 주민 의견은 반대였다.<본지 736호, 2018년 8월 14일자>
반대 주민은 “금정산 일대는 자연을 보호한다고 1972년부터 그린벨트로 묶어 이미 재산권을 침해받고 있는데, 그린벨트를 해제하지도 않으면서 국립공원까지 지정하면 사실상 이중규제 아니냐”고 반발하고 있다.
↑↑ 금정산 고담봉 일대 |
ⓒ 양산시민신문 |
또 다른 주민은 “같은 금정산이지만 송전탑은 양산지역에만 설치된 것을 보고 평소 서럽게 느끼기까지 했다”며 “또 부산외곽순환도로 터널 공사로 금정산 습지는 다 메마르고, 환경 훼손도 심각해졌는데 이제 와 국립공원 지정에 양산지역도 동참하라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이 같은 반대에도 부산시가 국립공원 지정을 계속 추진하자 금정산 인근 동면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반대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주민설명회 당시 국립공원 내 일부 마을은 주민이 반대한다면 지정 부지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며 반대 의견을 명확히 했다.
반면, 환경단체는 ‘환영’ 입장을 밝혔다.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은 부산환경운동연합, 마창진환경운동연합과 공동으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건의를 적극 환영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관리한다. 동시에 국비를 투입해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탐방로를 관리한다. 현재 지리산 국립공원 등 전국에 22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환경연합은 “금정산은 자연성과 생태ㆍ경관적 가치, 지형 보존이 우수하며 지형 보존과 이용 편의성도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된다면 국비 100억원 이상을 지원받아,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활용해 1천200억원대 경제 효과와 1천400여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양산시는 “부산시의 건의서 제출에 따라 정부에서 양산지역 주민 의견수렴 요청이 와, 8월 중순까지 의견을 취합해 환경부에 보고할 예정”이라며 “이후 환경부 주도의 자연조사와 타당성 조사, 주민 공청회 등 지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본격적인 절차를 진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이 더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