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평화ㆍ인권 활동가 고(故) 김복동 할머니를 기리는 평화공원 조성이 추진된다. 양산 출신으로 위안부 피해자 인권회복을 위해 평생을 헌신한 김 할머니의 정신을 양산에서부터 계승해야 한다는 여론이 원동력이 됐다.
양산시의회가 지난 15일 양산지역 사회단체 21곳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가칭) 김복동 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는 박미해 시의원(민주, 비례)이 지난 1월 추모분향소 운영 이후 ‘김복동 평화공원’ 필요성을 제기했고, 지역사회단체에 건립 제안서를 보내면서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복동 할머니는 1926년 양산에서 출생했으며, 만 14세이던 1940년 위안부로 끌려가 고초를 겪었다. 이후 1992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 공개하고 1993년에는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최초로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성 노예 피해를 증언하는 등 위안부 피해자 인권회복을 위해 평생을 헌신하다가 지난 1월 28일 밤 향년 9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 양산시민신문 |
그동안 막연하게 양산 출신이라는 사실만 알려지다 별세 후 할머니 본적이 ‘양산군 양산면 남부동 231번지’로 파악됐다. 이에 양산 출신의 평화ㆍ인권 활동가인 할머니의 삶과 정신을 양산에서부터 계승하자는 목소리가 높았다.
박미해 의원은 지난 3월 양산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김 할머니 인생은 그 자체가 인권과 평화의 상징이자 지난 역사를 잊지 않도록 하는 소중한 가르침이기에 그 뜻을 이어나가기 위한 추모공원 설립을 제안한다”며 “더욱이 김 할머니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 양산이라는 것에 대해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자부심과 자긍심을 심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양산지역 사회단체 21곳이 모여 첫 회의를 열고 류은영 여성단체협의회장을 위원장으로 선임, ‘(가칭)김복동 평화공원 조성사업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들은 참여 의사가 있는 사회단체를 더 모아 범시민추진위원회로 확대한 후 거리홍보, 서명운동 등을 통해 양산시민 모두의 지혜와 의견을 모을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