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14일 오후 3시부터 낙동강 창녕함안보 구간 조류경보를 ‘관심’에서 한 단계 높은 ‘경계’로 올렸다. 경계는 조류경보 두 번째 단계로 남조류 개체 수가 1만셀 이상에 해당한다. ‘관심’은 남조류 개체 수 1천셀/㎖ 이상, ‘경계’는 1만셀/㎖ 이상, ‘대발생’은 100만셀/㎖ 이상이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에 창녕함안보를 비롯한 8개 보가 생기면서 물 흐림이 느려지다 보니 녹조 발생이 심해졌다고 분석했다.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4일 “낙동강 보로 인해 물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면서 자정능력이 떨어졌다”며 “이로 인해 기온이 조금만 올라가도 녹조가 창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어 “현재 물금취수장 부근에 생긴 녹조는 육안으로도 탁도가 심각해 보인다”며 “녹조 물이 취수구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취수구 주위에 물을 분사하고 있지만 충분해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환경운동연합은 물금취수장으로 유입되는 녹조가 화제와 물금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낙동강 창녕함안보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녹조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창녕함안보를 비롯한 보 개방이 선제돼야 하지만 낙동강 상류 일부 지자체는 농수 확보 등 이유로 보 개방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러는 동안 35만 양산시민, 55만 김해시민, 350만 부산시민 식수원이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렀다”고 질타했다.
이에 양산시, 김해시, 부산시가 앞장서 낙동강 보 개방에 적극 나서고, 양산시와 김해시는 낙동강 상류 지자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 물금취수장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