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꺼진 방 모서리를 지나 어두운 계단을 딛고 올라서서
다시 수많은 어두운 방을 돌고 돌아가 끝방,
막다른 골목 같은 방
어둠을 담았던 쓰레기통을 씻어 말리고
어두운 방을 닦은 걸레가 겹쳐져 널려 있는
그 옆, 고독하고 긴 복도를 닦은
막대걸레가 세워져 조용히 말라가는 그런 방,
난 그 방 앞에서
똑똑, 문을 두드리려고 손을 들었다간 가만히 내려
무슨 소린가 끊임없이 들리다가도 귀를 갖다대면 고요해지지
문을 열면 환하게 텅 빈 방이 되어버리지
너, 아니? 가슴에도 끝방이 있다는 것 말이야
여러 개의 어둔 방 모서리를 돌고 돌아가
맨 끝에야 다다르는 막다른 골목 같은 방
수많은 빈 방 지키며 부르는 노래 간혹 간혹 들리는
그 끝방, 가장 많이 아픈 아픔이
가장 많이 기다린 기다림이 산다는 방,
그 방을 들여다볼 수가 없어 너무 화안해서
눈을 감고 말아, 눈을 감고 말아
![]() |
![]() |
|
↑↑ 이신남 시인 양산문인협회 회원 | ||
ⓒ 양산시민신문 |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그 끝방은 아름다운 기억의 방이 될 수도 있고 다시는 들어가고 싶지 않은 아픔을 담은 방일 수도 있다. 사연을 만들어서 사연을 낳아 더는 나아갈 수 없는 가슴의 끝방, 행복했던 순간보다 아픔이 많은 방이라면 다시는 들어가고 싶지 않을 것이다. 구석구석 남아 있는 그 아픔이 뿌옇게 먼지로 쌓여 있을 수 있기에. 문을 열면 숨어있던 고통이 먼지처럼 일어날까 봐 함부로 문 열고 싶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