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詩 한 줄의 노트] 끝방
오피니언

[詩 한 줄의 노트] 끝방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19/10/01 09:11 수정 2019.10.01 09:11

끝방

                                     강미정


너, 아니? 가슴에도 끝방이 있다는 것 말이야
불 꺼진 방 모서리를 지나 어두운 계단을 딛고 올라서서
다시 수많은 어두운 방을 돌고 돌아가 끝방,
막다른 골목 같은 방
어둠을 담았던 쓰레기통을 씻어 말리고
어두운 방을 닦은 걸레가 겹쳐져 널려 있는
그 옆, 고독하고 긴 복도를 닦은
막대걸레가 세워져 조용히 말라가는 그런 방,
난 그 방 앞에서
똑똑, 문을 두드리려고 손을 들었다간 가만히 내려
무슨 소린가 끊임없이 들리다가도 귀를 갖다대면 고요해지지
문을 열면 환하게 텅 빈 방이 되어버리지
너, 아니? 가슴에도 끝방이 있다는 것 말이야
여러 개의 어둔 방 모서리를 돌고 돌아가
맨 끝에야 다다르는 막다른 골목 같은 방
수많은 빈 방 지키며 부르는 노래 간혹 간혹 들리는
그 끝방, 가장 많이 아픈 아픔이
가장 많이 기다린 기다림이 산다는 방,
그 방을 들여다볼 수가 없어 너무 화안해서
눈을 감고 말아, 눈을 감고 말아


l 시 감상

 
↑↑ 이신남
시인
양산문인협회 회원
ⓒ 양산시민신문  
가슴에 품은 끝방이란 아무도 모르는 혼자만의 방이라고 단정 지어 본다. 은밀하게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은 공간. 오직 그곳에서만 자신의 전부를 찾을 수 있고 자신과도 진실해지는 그런 방. 누구나 하나쯤 가지고 있을 것이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그 끝방은 아름다운 기억의 방이 될 수도 있고 다시는 들어가고 싶지 않은 아픔을 담은 방일 수도 있다. 사연을 만들어서 사연을 낳아 더는 나아갈 수 없는 가슴의 끝방, 행복했던 순간보다 아픔이 많은 방이라면 다시는 들어가고 싶지 않을 것이다. 구석구석 남아 있는 그 아픔이 뿌옇게 먼지로 쌓여 있을 수 있기에. 문을 열면 숨어있던 고통이 먼지처럼 일어날까 봐 함부로 문 열고 싶지 않을 것이다.

기억 속에 남은 아픈 시간을 지우기 위해 끝방의 문을 활짝 열어 깨끗이 털어 낼 수 있다면 좋겠다. 따뜻한 햇살을 담고 시원한 바람을 담아 끝방 구석구석을 환하게 밝혀 은밀한 방이 아닌, 환해서 자신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혼자만의 공간이기를 바라면서.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