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악취 탓에 못 살겠다!” 아우성에 정치권, 시민단체 나..
행정

“악취 탓에 못 살겠다!” 아우성에 정치권, 시민단체 나섰다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19/10/15 09:30 수정 2019.10.15 09:30
성동은 도의원, 5분 자유발언 통해
웅상에 ‘악취관제센터’ 설치 제안
관련 조례 근거로 도내 최초 요구

시민단체협의회, 16일 간담회 예정
“전담 인력ㆍ예산 확보해 해결해야”

지난 13일 덕계ㆍ평산지역은 온종일 심각한 악취로 고통을 받았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분뇨 냄새 탓에 외출은커녕 집안 창문조차 열 수 없는 주말을 보냈다. 일부 주민들은 두통까지 호소하며 웅상출장소에 민원을 제기했지만, 속 시원한 답변은 듣지 못했다.

이같이 수년째 ‘악취 탓에 못 살겠다’는 주민 아우성에 정치권과 시민 단체가 움직이고 있다. 악취관제센터를 설치하고,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 개최 등을 제안하고 나섰다.

성동은 경남도의회 의원(민주, 덕계ㆍ평산ㆍ서창ㆍ소주, 사진)은 지난 10일 제367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웅상지역 내 ‘악취관제센터’를 시범 설치ㆍ운영할 것을 건의했다. 설치된다면 경남도내 최초다.

성 의원은 “경남도내 악취 민원이 2015년 1천138건에서 2019년 4천293건으로 최근 5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다”며 “양산지역 악취 민원은 도내 세 번째로, 이 가운데 웅상지역 민원이 전체의 42%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악취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2016년 <경남도 악취방지시설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돼 있지만 지금까지 보조금이 지원된 사례가 없다. 또 경남이 대기배출시설 밀집지역으로 전국 두 번째지만, 지도ㆍ감독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

ⓒ 양산시민신문

성 의원은 “인근 부산시 사하구청은 2015년 악취관제센터를 설치한 후 3년간 악취 민원이 75%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며 “또 제주, 울산, 인천 등 타 시ㆍ도에서도 악취관제센터를 확대 설치ㆍ운영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 의원은 “악취는 누군가에게는 질병이자 공해이며, 평범한 일상을 망치는 주범”이라며 “더 이상 악취를 단순한 불편함이나 불쾌감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성 의원은 “앞으로는 경남도민 모두가 악취로부터 고통받는 일이 없도록 경남도가 나서서 적극 대응해 줄 것”을 당부하며 웅상지역 내 악취관제센터를 도내 최초로 설치ㆍ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시민단체도 두 팔을 걷어붙였다. 양산시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 시민단체협의회는 오는 16일 오전 10시 웅상출장소에서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예고했다.

이들은 “문제는 악취가 어디서 나는 냄새인지 알 수 없고, 원인 파악이 안 되니 당연히 문제해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에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법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주민들이 체감하는 피해는 큰 상황이기에 조례 제ㆍ개정 등을 통해 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현재 <양산시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가 제정돼 있지만 실질적인 법을 이행 할 수 있는 ‘지역협의회’나 ‘화학안전팀’ 등이 없다. 때문에 전담인력 확보와 예산편성 등을 통해 화학물질 관리 업무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게 시민단체의 설명이다.

이들은 “웅상지역은 공단과 산단이 주거지와 뒤섞여 있어 악취 민원이 상당히 많고, 최근에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가는 등 악취로 인한 시민 고통이 상당히 크다”며 “웅상지역 악취 문제에 관심이 있는 주민 누구나 참석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개진해 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