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이 수년째 ‘악취 탓에 못 살겠다’는 주민 아우성에 정치권과 시민 단체가 움직이고 있다. 악취관제센터를 설치하고,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 개최 등을 제안하고 나섰다.
성동은 경남도의회 의원(민주, 덕계ㆍ평산ㆍ서창ㆍ소주, 사진)은 지난 10일 제367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웅상지역 내 ‘악취관제센터’를 시범 설치ㆍ운영할 것을 건의했다. 설치된다면 경남도내 최초다.
성 의원은 “경남도내 악취 민원이 2015년 1천138건에서 2019년 4천293건으로 최근 5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다”며 “양산지역 악취 민원은 도내 세 번째로, 이 가운데 웅상지역 민원이 전체의 42%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악취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2016년 <경남도 악취방지시설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돼 있지만 지금까지 보조금이 지원된 사례가 없다. 또 경남이 대기배출시설 밀집지역으로 전국 두 번째지만, 지도ㆍ감독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
![]() |
ⓒ 양산시민신문 |
성 의원은 “인근 부산시 사하구청은 2015년 악취관제센터를 설치한 후 3년간 악취 민원이 75% 감소하는 성과를 보였다”며 “또 제주, 울산, 인천 등 타 시ㆍ도에서도 악취관제센터를 확대 설치ㆍ운영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 의원은 “악취는 누군가에게는 질병이자 공해이며, 평범한 일상을 망치는 주범”이라며 “더 이상 악취를 단순한 불편함이나 불쾌감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성 의원은 “앞으로는 경남도민 모두가 악취로부터 고통받는 일이 없도록 경남도가 나서서 적극 대응해 줄 것”을 당부하며 웅상지역 내 악취관제센터를 도내 최초로 설치ㆍ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시민단체도 두 팔을 걷어붙였다. 양산시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 시민단체협의회는 오는 16일 오전 10시 웅상출장소에서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예고했다.
이들은 “문제는 악취가 어디서 나는 냄새인지 알 수 없고, 원인 파악이 안 되니 당연히 문제해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에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법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주민들이 체감하는 피해는 큰 상황이기에 조례 제ㆍ개정 등을 통해 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현재 <양산시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가 제정돼 있지만 실질적인 법을 이행 할 수 있는 ‘지역협의회’나 ‘화학안전팀’ 등이 없다. 때문에 전담인력 확보와 예산편성 등을 통해 화학물질 관리 업무를 본격화해야 한다는 게 시민단체의 설명이다.
이들은 “웅상지역은 공단과 산단이 주거지와 뒤섞여 있어 악취 민원이 상당히 많고, 최근에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가는 등 악취로 인한 시민 고통이 상당히 크다”며 “웅상지역 악취 문제에 관심이 있는 주민 누구나 참석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개진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