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지난 16일 웅상출장소에서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소통 간담회’를 마련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일권 양산시장, 성동은 경남도의원, 박일배ㆍ이장호 양산시의원을 비롯해 양산지역 환경단체와 주민 30여명이 참석했다.
양산지역 악취 문제는 주거지와 공장이 뒤섞인 잘못된 도시계획이 근본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미 들어선 공장을 이전할 수 없는 탓에 공장으로 인한 소음, 먼지, 악취로 많은 주민이 수년째 고통 받고 있다. 특히,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간 악취 문제는 고질적인 민원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날 김일권 시장은 “가장 큰 문제는 악취가 어디서 나는지 모른다는 것인데, 그렇다고 해서 이대로 손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판단에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가감없이 주민 의견을 직접 듣고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자는 취지의 자리”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악취전담 TF팀 개설 ▶합법적 대기배출에 대한 제도적 보완책 마련 ▶주민ㆍ지자체ㆍ기업이 함께 지역협의회 구성 ▶<양산시 화학물질 안전관리 조례>에 따른 화학안전팀 구성과 예산 마련 ▶악취 측정시설 확충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양산시는 현재 60여명인 환경직 공무원과 기간제 인력 등을 충원해 24시간 365일 운영하는 악취 전담 부서를 개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흩어져 있는 악취 민원 창구를 일원화해 민원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각오다.
ⓒ 양산시민신문 |
더불어 악취가 심리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지적에 따라 주거지와 공장 사이에 완충녹지를 최대한 확보해 도시 환경을 정비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각종 인ㆍ허가와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 악취 문제를 반영해 추가 민원을 차단할 계획도 밝혔다.
한 참석자는 “양산지역 2천400여개 공장 가운데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231곳이지만, 굴뚝자동측정기(TMS)가 설치된 곳은 8곳뿐”이라며 “이들 업체가 어떤 화학물질을 배출하고 또 어떤 방지시설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빅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양산시는 “실제 경남 18개 시ㆍ군 가운데 화학물질 취급 업체가 창원 다음으로 많은 곳이 양산”이라며 “이 가운데 화학물질을 다양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69곳으로, 우선 이들 업체에 대한 전수조사부터 시행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성동은 경남도의원과 이장호 양산시의원이 각각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제안한 악취통합관제센터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성 의원은 “2016년 <경남도 악취방지시설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돼 있지만 지금까지 보조금이 지원된 사례가 없다”며 “조례를 근거로 도비를 지원받아 경남지역 최초 악취통합관제센터를 설치ㆍ운영하자”고 말했다.
이 의원 역시 “현재의 화학물질 안전 조례가 아닌 <악취방지조례>를 별도 제정해 악취를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ㆍ방지해야 한다”며 “인근 부산시 기장군, 제주도 서귀포시 등 사례와 같이 악취통합관제센터 구축으로 인력과 전문 장비를 보강해 악취 민원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시장은 “우선 첫 단추부터 끼우겠다는 각오로 악취 전담 부서를 운영한 뒤, 악취통합관제센터 운영도 검토하겠다”며 “이 밖에도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전담 부서에서 악취 방지 로드맵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