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가 재가설을 추진 중인 세월교(공암잠수교) 조감도 |
ⓒ 양산시민신문 |
지난해 수해복구 공사 과정에서 멸종위기종이 다량 발견돼 논란이 있었던 상북면 양산천에 양산시가 또 교량 건설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양산시는 ‘상북면 공암삼거리 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에 따라 상북면 공암삼거리 세월교(공암잠수교)를 철거하고 대체 교량을 설치하는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경남도가 2016년 태풍 ‘차바’로 이 일대 수해복구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멸종위기 1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가 다량 발견됐다. 얼룩새코미꾸리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전 세계에서 낙동강 수계에서만 사는 대단히 희귀한 종이다.
결국 2달여간 공사를 중단하고 개체 9마리를 포획해 진해내수면센터에 옮겨 보호 조치한 후, 낙동강환경유역청 안전성 검토 후에 공사를 재개했다. 하지만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4월 자체 모니터링 결과 미꾸리 23마리를 추가 발견하고 하천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분별하게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하기도 했다.<본지 719호, 2018년 4월 10일자>
그런데 이번에는 양산시가 이곳에 교량 건설을 추진하자, 환경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김해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9일과 지난 23일 두 차례 입장문 발표를 통해 “양산천 수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공암삼거리 새 다리 건설을 재검토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세월교는 도시계획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교량이 아닌 배수통문을 갖춘 하천시설물인 보를 주민들이 편의상 다리처럼 이용해 온 것”이라며 “2016년 인명 사고가 발생했을 정도로 위험한 시설로 철거하는 것은 마땅하지만 ‘대체’해 새로운 다리를 놓겠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양산천은 세월교를 제외하더라도 차량 교행이 가능한 다리가 5곳이 있는 데다, 세월교 상류 방향 700m에 장제교가, 하류 방향 900m에 효성교가 있다”며 “때문에 새 다리 건설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교통 수요에 대한 조사가 전제돼야 하지만, 전혀 하지 않고 ‘대체’라는 말만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 양산천에서 발견된 얼룩새코미꾸리. |
ⓒ 양산시민신문 |
무엇보다 교량 건설 공사에 앞서 양산천 수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대책을 먼저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연합은 “세월교 일대는 멸종위기 1급인 얼룩새코미꾸리의 집단 산란ㆍ서식지라는 사실이 이미 밝혀졌다”며 “더욱이 생태조사를 통해 다른 멸종위기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330호인 수달 서식까지 확인된 만큼, 보전 대책을 확실히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양산시는 지난달 사업비 2천400만원을 편성해 ‘얼룩새코미꾸리 보전대책 수립 용역’을 입찰 공고했지만 두 차례 유찰돼 현재 세 번째 공고를 진행하고 있다.
용역은 계약 후 착수일로부터 16개월 동안 하천 교량 공사에 따른 멸종위기 담수어려 기초 생태조사와 대체 서식지 조성 등 보전 방안 등을 연구하는 것을 담고 있다. 하지만 용역 내용을 두고도 양산시와 환경단체 간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환경연합은 “멸종위기 1급은 관찰기 3년 안정기 2년으로 60개월을 확보해야 환경평가 적정성 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양산시는 “전문기관에 의뢰해 다른 사례를 충분히 검토한 끝에 과업지시서를 작성했으며, 이후 추가로 꾸준한 모니터링과 생태계 복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