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지난달 29일 ‘광역철도(부산~웅상~울산) 건설 기초조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용역을 맡은 영산대는 부산 노포~웅상 용당, 부산 노포~웅상 용당~울산 무거 등 2개 노선에 대해 B/C(비용대비 편익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는 각각 0.74와 0.65로 사업성을 평가하는 기준인 1에 미치지 못해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같은 경제성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1년 조사에서는 각각 0.58, 0.36이 나왔고, 2017년에는 부산 노포~웅상 용당~울산 무거 노선만 재검토해 0.71이 나온 바 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2011년보다는 B/C 수치가 올랐지만, 2017년과 비교했을 때는 오히려 떨어진 상황으로, 사실상 경제성이 부족해 사업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만 10여년째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그도 그럴 것이 부산 노포~웅상 덕계 간, 양산 용당~울산 무거 간 생활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허허벌판이 많다. 일부 자연마을이 있지만, 주민 수가 턱없이 적어 도시철도를 건설하기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그동안 도시개발로 웅상 인구는 증가했지만, 부산ㆍ울산 주변 상황이 변하지 않는 한 B/C 수치가 크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우선 경전철 방식 대신 트램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실제 이번 기초조사 용역을 맡은 영산대도 사업비가 60%가량 절감되는 트램 노선 건설을 대안으로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경전철 방식은 사업비가 1조4천305여억원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트램의 정식 명칭은 노면전차로, 전기를 공급받아 도로 위에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방식이다. 친환경적 도심 교통수단으로 최근 대전, 판교, 수원 등에서 트램 설치를 추진 중이다. 부산시 역시 지난해 발표한 도시철도망 확충 계획에 따라 노포~월평(신정선), 좌천~정관~월평(정관선) 2개 노선을 트램으로 건설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또 하나, 정관~웅상~울산에 대한 경제성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사실상 웅상주민의 부산생활권이 주로 금정구에 치우쳐 있어, 수년간 노포~웅상~울산 노선에만 매달려 온 게 사실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데다, 신정선에 대한 부산 주민 요구가 크지 않아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분석이 많다.
반면, 정관선은 기장군에서 범군민운동이 이어질 정도로 요구가 높은 노선이다. 때문에 지난해 국토교통부 투자 심의를 통과했지만, 마지막 단계인 기획재정부 최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못해 사업 최종 유치라는 결실을 거두지는 못했다. B/C가 0.981로 1을 넘지 못해 선정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트램 방식을 적용한 좌천~정관~월평 계획상에 웅상 용당동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을 함께 검토한다면 투자 여건 개선으로 B/C가 높아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성동은 경남도의원(민주, 덕계ㆍ평산ㆍ서창ㆍ소주)은 “노포와 연결하는 웅상경전철뿐 아니라 중전철, 트램 적용 검토는 물론 도시철도를 벗어난 광역철도와 기존 노선과 연장선 등 다각도의 검토가 필요하다”며 “경남도 역시 내년 10억원의 예산을 들여 ‘경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할 계획으로, 웅상주민 의견을 반영한 수요분석과 경제성 분석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