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양산시민신문 |
|
|
 |
|
ⓒ 양산시민신문 |
|
|
 |
|
↑↑ 사진 위에서부터 명동 삼국시대 집단 거주지, 사송신도시에서 출토된 구석기 유물, 상삼리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통형기대 |
ⓒ 양산시민신문 |
|
양산시립박물관(관장 신용철)은 오는 10일부터 내년 3월 1일까지 약 3개월 동안 ‘땅속에서 찾은 양산의 역사’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시립박물관은 2014년 이후 국가귀속문화재 보관ㆍ관리 지정기관이 된 이래 6천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이에 그동안 수임받은 양산지역 발굴 문화재를 시민에게 최초 공개하고 문화재 보존고로서 박물관의 중요성과 그 의미를 되새기고자 기획전시를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양산지역에서 조사된 선사시대부터 고려ㆍ조선시대까지의 유물을 통해 발굴 성과를 되짚어보고 한눈에 살펴보는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전시는 지역별 출토품을 7개로 나눠 유적별로 소개할 예정이다. 가장 최근에 국가 귀속이 완료된 사송 유적을 비롯해 소토리 지석묘, 신평 청동기시대 집자리, 명동 도자가마, 북부동 건물지 등 주요 유적의 출토품 200여점을 선보인다.
특히, 양산 최초 구석기 유적으로 알려진 사송 출토 유물을 최초 공개한다. 사송 유적은 후기 구석기에 해당하는 유구로 돌날몸돌, 돌날, 홈날, 새기개, 복합석기 등이 확인됐다. 또 분석을 통해 석기 제작에 사용한 돌은 응회암으로 유적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송 유적은 양산에 구석기 문화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려주며, 양산역사의 상한을 재조명 하는 사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에 함께 공개하는 상삼리 유적은 5세기 초~6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는 삼국시대 목곽묘, 석곽묘가 조성된 고분군으로서 통형기대, ‘工’자형 굽다리 접시, 미늘쇠(유자이기) 등이 확인되면서 김해, 경주, 일본과의 교류 양상을 엿볼 수 있어, 삼국시대 고분에 대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고고학적으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이 밖에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는 석곽묘에서 둥근고리자루칼(환두대도)이 출토돼 무덤 조성 당시 피장자의 높은 지위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신용철 관장은 “국가귀속문화재 수임처로 그동안 결과를 일반에게 공개함으로써 양산의 다양한 역사성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민의 많은 관심과 관람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는 10일부터 시작하며, 별도 개막식은 없다. 특별전에 대한 문의는 학예담당(392-3323)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