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은 경남도의원(민주, 덕계ㆍ평산ㆍ서창ㆍ소주)은 지난 1일 제37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추가경정예산으로 ‘악취통합관제센터 구축’ 사업비 5억원을 최종 의결했다고 밝혔다.
최근 양산지역 악취 민원이 급증하면서 악취 해소 방안을 마련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진행됐다. 이에 한옥문 도의원(악취관리지역 지정 촉구)과 성동은 도의원(악취관제센터 설치ㆍ운영 건의)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악취 대책 마련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양산시가 도내 최초 악취대응팀을 설치하는 등 민ㆍ관ㆍ정이 한목소리를 낸 것이 양산이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앞으로 총사업비 10억원(도비 5억원, 시비 5억원)을 투입해 악취배출시설 관리 강화를 위한 현장 감시기능을 확대한다. 악취측정센서 30곳, 원격 악취시료채취기 10곳, CCTV 4곳, 기상관측기 4곳 등을 구축한다. 이 같은 첨단장비를 갖춘 IOT 기반 악취통합관리시스템 상황실은 양산시청에 설치ㆍ운영할 계획이다.
성 의원은 “양산지역은 악취 민원이 2016년 124건에서 2018년 412건으로 2년 만에 232%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경남도 평균은 59%”라며 “더욱이 지리적 여건상 동부(웅상)와 서부로 나뉘어 신속한 악취 민원 대응ㆍ점검에 어려움이 컸다”고 설명했다.
이어 “악취는 단순한 불편함이나 불쾌감이 아닌, 누군가에게는 질병이고 평범한 일상을 망치는 주범”이라며 “악취통합관제센터 구축으로 악취 배출 사업장의 실시간 감시와 악취 시료 채취 등 신속한 대응으로 악취 관리 선진화를 이루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