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에 따르면 지난 21일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회야수질개선사업소에서 김일권 양산시장과 송철호 울산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에 회야하수시설 증설사업 준공식을 열었다. 이 시설에는 주민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다목적 구장, 운동기구 등 체육시설과 산책로, 그늘막, 잔디광장 등 공원도 마련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웅상 4개동 오ㆍ폐수는 1989년부터 울산시가 가동하는 회야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해 왔다. 이로 인해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은 오ㆍ폐수량 증가를 유발한 탓에 하수처리 용량 부족을 우려한 울산시가 개발을 제한해 왔다.
이후 울산시가 회야하수처리장 하루 처리용량을 3만2천톤에서 7만2천톤으로 4만톤 증설하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양산시와 증설 사업비 분담을 두고 갈등을 빚어오면서 수년 동안 웅상지역 개발사업에 걸림돌로 남아 있었다.
그러다 지난 2016년 두 지자체가 한 발씩 물러서 절반씩 나눠 내기로 합의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라 웅상 개발에 숨통이 틀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회야하수처리장 인근에 있는 웅촌면 주민이 증설 철회를 주장하면서 집단 시위를 벌여, 4개월간 증설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다.
이 탓에 올해 준공 예정이었던 공사가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웅상지역 신규 아파트 입주에 차질이 우려됐지만, 종합시운전을 시작하면서 단계별로 웅상지역 하수를 처리하기로 합의해 큰 대란은 가까스로 막았다.
하지만 또 하수처리비용이 문제였다. 웅상 하수 업무를 울산시가 전담하면서 행정업무가 늘어나고 적자가 점차 커지자 울산시가 양산시에 하수처리비용 부담을 요구해 온 것이다. 반대로 양산시는 울산시에 하수 업무 이관을 요청하고 나섰다. 웅상 주민이 건축물 인ㆍ허가 과정에 필요한 배수 설치 신고ㆍ준공 관련 업무 등을 울산에 가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이다.
3년간 협의 끝에 양산시가 ‘동부양산 하수처리비용 분담 및 협약서 개정 동의안’을 마련해 지난해 12월 울산시와 합의했다. 동의안에 따르면 양산시는 올해부터 하수처리비용으로 14억원가량을 울산시에 부담하기로 했다. 반면 하수도 사용료 부과ㆍ징수를 양산시가 수탁하기로 해 울산시로부터 받아온 수수료를 10%에서 7.25%로 조정했다. 특히, 울산시 하수 업무 담당공무원이 웅상출장소에 상시 출장 근무하도록 해, 웅상 주민 불편함을 덜어 민원서비스를 높일 예정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로써 30여년간 하수 관리 이원화로 갈등을 빚어온 웅상 하수처리 문제가 일단락됐다. 대단지 아파트 건설, 도시개발사업, 산업단지 조성 등 각종 개발사업이 순항하는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
양산시는 “증설공사 완료로 웅상지역에 안정적인 하수처리로 도시개발 걸림돌이 사라지게 됐다”며 “또 고도처리 과정을 거쳐 회야천 수질도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