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노플랜은 경남개발공사가 1994년 107억원을 들여 소주공단 내 폐수와 산업폐기물을 처리하는 용도로 설치했다. 준공 당시 하루 폐수 4천톤과 산업폐기물 30톤을 처리할 목적이었지만, 울산시 식수원인 회야댐 상류에 있는 소주공단은 애초 폐수배출업체 입주가 허용되지 않아 혈세 낭비 지적이 있었다.
이후 폐기물중간처리업으로 변경하고, 채산성을 맞추기 위해 폐열공급설비를 구축ㆍ운영했지만, 경영 악화로 낡은 시설을 개설하지 못해 환경 관련 행정처분을 다수 받는 등 문제점을 드러냈다.
그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허용기준치를 초과하고, 스모그와 악취 등으로 해마다 민원이 제기돼 시설 폐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왔다. 결국, 경남개발공사는 사업성을 이유로 2016년 1월 위탁운영자와 계약을 해지하고, 법정 다툼까지 거치고 나서야 2017년 1월 모든 운영을 중단했다.
![]() |
↑↑ 양산시는 처리비용 탓에 양도에 난색을 표했지만, 더는 방치할 수 없어 부지 활용 방안이 정해지면 양도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
ⓒ 양산시민신문 |
가동이 중단되자 인근 주민은 폐기물 소각시설로 인해 20여년 동안 각종 피해를 봤다고 주장하며, 해당 부지에 체육시설 등 주민편의시설을 조성해 달라고 건의했다. 또 지난해 양산시장이 실ㆍ국장들이 배석한 책임관 회의에서 마노플랜 활용 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지시한 후 직접 현장을 확인하고 나서면서 사업 추진에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여전히 마땅한 부지 활용 방안을 찾지 못했다. 공단 입구에 위치해 주민 활용도와 접근성이 떨어져 문화ㆍ체육시설로 적합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최근 동부소방서 부지로도 검토됐지만, 역시 동부양산 전역을 아우르기에는 위치가 부적절하다는 판단에 따라 후보지에서 배제됐다. 이 밖에도 화물전용주차장, 근린공원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이 나오고는 있지만, 의견 일치를 보지는 못한 상황이다.
여기에 마노플랜에 대한 소유권이 여전히 경남개발공사에 있다는 것도 사업에 속도를 내지 못하는 이유다. 경남개발공사는 시설과 부지를 양산시에 무상 양도하려 했지만, 양산시는 현재 자산 가치인 16억원보다 기존 폐기물 처리와 건물 철거 등 사후 처리비용이 40여억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예상해 인수에 난색을 표해 왔다. 반면, 경남개발공사는 시설과 토지를 무상으로 넘기기 때문에 어떠한 추가 지원도 없다는 입장이어서, 3년이 지나도록 인수 절차를 밟지 않고 있다.
![]() |
↑↑ 현 부지에 주민편의시설, 화물공영주차장, 근린공원 등 몇 가지 활용 방안이 제기됐지만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한 채 3년째 방치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양산시는 “마노플랜 매립 폐기물은 환경부로부터 최종 매립시설로 승인받은 차단형 방식으로, 건물 등만 철거하면 지상 부지는 어떤 용도로든 활용 가능해 처리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한다”며 “때문에 용도만 정해지면 (경남개발공사로부터) 양도 절차를 진행할 계획으로 현재 인근 주민, 공단, 정치권과 부지 활용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