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이번엔 될까?” 양산문화재단 설립, 4년 만에 재추진..
문화

“이번엔 될까?” 양산문화재단 설립, 4년 만에 재추진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20/07/01 14:22
타당성 용역 등 설립 본격 논의됐지만
지역 문화계 공감 얻지 못한 채 ‘중단’
정숙남 의원 시정질문 이후 수면 위로
양산시 “타당성 용역 추진” 계획 밝혀

양산시가 양산문화재단 설립을 4년 만에 재추진한다. 양산시가 오는 9월 추경예산을 편성해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번에는 지역 문화계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양산문화재단 설립 논의는 2016년 본격화됐다. 지역 문화정책을 총괄하는 전문성을 갖춘 수행기관이 있어야 한다는 취지였다. 이에 따라 설립 타당성 용역을 시행하며 문화재단 설립 초읽기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 양산시의회는 물론 지역 문화계에서조차도 사업 목적이 애매하고, 타당성이 부족하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우선, 양산문화원과 기능이 중복되는 데다, 지역 문화예술인 단체를 총괄하겠다는 것은 관 중심으로 지역문화를 좌지우지하겠다는 의도라는 지적이 있었다. 무엇보다 당시 용역이 삽량문화축전 사무처와 양산문화예술회관 담당 부서를 통합하겠다는 것으로, 비전문가 채용으로 결국 공무원 일자리만 늘리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처럼 추진 단계부터 삐걱거리며 결국 양산문화재단 설립 논의는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 정숙남 양산시의원(미래통합, 비례)이 시정질문을 통해 양산문화재단 설립 필요성을 제기하며, 4년 만에 설립 논의가 다시 본격화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여기에 다시 불을 지핀 것은 지난 22일 열린 제168회 양산시의회 정례회에서 정숙남 의원(미래통합, 비례)이 시정질문을 통해 양산문화재단 설립 필요성을 제기하면서다.

정 의원은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서는) 행정, 예술단체, 시민단체 각자가 그 역할을 해야 하겠지만, 지역 문화예술공동체로서 구심점이 필요하다”며 “전부를 조정하는 콘트롤타워가 아니라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며 지역에 적합한 정책과 사업과 예산을 끌어낼 수 있는 공동체로서 지역문화재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국 지자체 226곳 가운데 91곳에서 문화재단을 설립ㆍ운영하고 있고, 경남에서도 창원ㆍ김해ㆍ사천ㆍ거제ㆍ밀양ㆍ거창 등 6곳에서 운영 중이다.

정 의원은 “양산시에 문화재단이 부재한 것은 ‘문화’가 개발, 건립, 조성 등 하드웨어 구축보다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거론조차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양산시의 설립 추진 의지에 대해 물었다.

이에 대해 김일권 양산시장은 “문화재단을 통해 문화 자생력을 증진하고, 문화예술 기획 운영, 관광자원 개발, 축제 운영 등 전문화와 다양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문화재단 설립 필요성에 공감했다.

무엇보다 4년 전과 비교했을 때 문화 관련 하드웨어 인프라가 달라졌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지난해 개관한) 쌍벽루아트홀뿐만 아니라 어곡초 공동창작소, 양산문화복합센터 설립 예정으로 그때와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며 “특히, 공동창작소는 운영에 상당한 전문성이 필요한 시설로 이 시점에 문화재단 설립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