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에 바이러스 연구센터를 설립한다는 소식은 지난 13일 한 지역언론사를 통해 처음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내 최대 해외민간협력기구인 중화해외연의회가 한국에 한중일 공동 백신ㆍ바이러스 연구센터 건립을 제안했고, 센터 위치로 부산을 언급했다. 하지만 김두관 의원이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를 최적지로 역제안했고, 이후 김 의원이 직접 부산대와 협의를 시작했다는 내용이다.
보도 이후 상당수 양산시민이 발끈하고 나섰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여전히 꺾이지 않고 있는 시점에서 바이러스를 취급하는 민감한 시설이 들어오는 데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진원지로 언급되는 중국 시설이라는 사실에 파문이 커졌다.
반면, 일부에서는 전염병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소는 꼭 필요한 시설이며, 우리 지역에 안 된다는 것은 또 하나의 님비현상이라고 주장했다. 양산부산대병원이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선정된 상황에서 바이러스 연구센터 설립이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조성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고조됐다.
하지만 온ㆍ오프라인에서는 반대 목소리가 더 컸고, 급기야 청와대 국민청원에 ‘바이러스 연구센터 설립 무산’을 촉구하는 청원 글까지 올라갔다.
↑↑ 김두관 국회의원이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글 |
ⓒ 양산시민신문 |
논란이 확산하자 김 의원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해명에 나섰다. 한중일 바이러스 연구센터 양산 설립은 ‘괴담보다 못한 가짜뉴스’라고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부산대 유휴부지에는 양산에 걸맞은 첨단 연구소 같은 미래성장 동력을 유치하는 게 정답”이라며 “양산에 첨단 연구소가 들어와 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세계 일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지만, 현재로서는 그냥 아이디어 수준일 뿐 계획도 내용도 없는 상태”라고 부인했다.
그러면서 “만약, 그런 연구소에 대한 자세한 제안이 온다 해도 그 전제 조건은 시민 안전과 동의”라며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시민이 반대한다면 저 같은 정치인이 뭐 하러 그런 일에 힘을 쓰겠는가. 혹여 주변에서 그런 괴담으로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잘 설명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