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김두관 “양극화 시대 해법으로 기본자산 고민해야”..
정치

김두관 “양극화 시대 해법으로 기본자산 고민해야”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20/10/06 12:10
기본자산 정책화 방향 토론회 진행
모든 신생아 출생 때 2천만원 신탁
20여년 불려 기본자산 지급 방안도

김두관 국회의원(민주, 양산 을)은 지난 5일 ‘양극화 시대, 왜 기본자산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기본자산 이론과 역사를 짚어보고, 양극화 시대 해법으로서 기본자산 정책화 방향에 관한 토론을 벌였다. 칼폴라니연구소 소장을 지낸 정태인 전 국민경제비서관이 좌장을 맡았으며, 김종철 서강대 교수와 김병권 정의정책연구소 소장의 발제로 진행했다.

김종철 교수는 ‘기본자산제-정의 회복을 위한 정책’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시작했다. 기본자산 논의 역사와 기본소득과 차이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자산 격차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서 기본자산제를 사회적 상속-기본자산-협동조합 연계 방식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어 두 번째 발제에서는 김병권 소장이 정의당의 정책으로 제안했던 내용을 ‘청년기초자산제 도입의 배경과 내용’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김 소장은 “능력주의가 붕괴되고 새로운 유형의 세습이 고착화되고 있다”며 “제2의 토지개혁 수준의 정책 처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양산시민신문

이어진 토론에는 김만권 경희대 교수와 임경석 경기대 교수, 김공회 경상대 교수와 구본우 중앙대 교수가 참여했다. 기본소득제와 비교검토, 기본자산의 생산적 활용 의무, 정책 현실성과 도입 문턱 문제, 선별 배분 방식 문제 등 날카로운 논쟁이 이어졌다.

김두관 의원은 “양극화 현실 타개를 위한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며 “부의 순환구조를 재정립하는 방편으로 기본자산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두관 의원실은 “신생아 출생 때 2천만원을 신탁해 20~25년 후 성년이 된 청년에게 기본자산을 지급하는 것을 한 가지 방안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이 경우 4~5천만원에 이르는 기본자산 형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갈수록 늘어가는 상속증여세를 기본자산 마련을 위한 특별회계로 별도로 관리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