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김두관 국회의원(민주, 양산 을)이 인구 5천만명 이상, 1인당 GDP 3만불 이상인 7개 국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과 정부채 비율을 비교한 결과, 2006년 이후 현재까지 주요 선진국 정부부채 비율은 86.0%에서 153.4%까지 상승한 반면, 가계부채율은 64.8%에서 62.9%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이 비교한 7개 국가는 우리나라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이다.
김 의원은 “독일은 글로벌 경제위기로 가계부채가 늘어나기 시작하자 정부부채 비율을 90.4%까지 올려 가계부채 비율을 낮췄으며, 이후 독일경제가 호황기로 들어서면서 정부부채 비율도 줄어들었다”며 “경제위기 국면에서 재정의 역할이 가계부채 관리와 GDP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 평균 정부부채 비율은 153%인데 비해 우리나라 정부부채 비율은 40%에 불과하며, 가계부채는 주요 선진국 평균이 62.9%인데 우리나라는 95.9%에 이른다.
김 의원은 “재정준칙 고집하는 기재부에 지금이 정부 빚을 걱정할 때인가, 가계부채를 걱정할 때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아직 재정이 튼튼한데 정부가 준칙으로 재정을 묶어놓고 국민을 빚더미에 허덕이게 할 것이냐”고 지적했다.
또 홍남기 부총리에게는 “부총리가 고령화 등으로 복지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재정준칙을 도입해야 한다고 했는데, 복지수요가 늘어날 때 정부가 긴축재정을 하면 필요한 비용은 고스란히 가계가 빚으로 짊어지게 된다”며 “부채에 시달리는 국민을 생각해서 재정준칙 도입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