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와 양산시에 따르면 국토부 대광위가 지난 9월 부산~양산~울산 동남권 광역철도 건설사업 최적안으로 ‘부산 노포동~양산 웅상~울산 무거동~KTX울산역’을 제시했다. 총 길이 51.5km로, 트램 방식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는 사실상 양산시와 울산시가 ‘제4차 국가광역교통기본계획’(2021~2025년)에 반영해 달라고 국토교통부에 요구한 2개 노선을 합친 절충안으로 볼 수 있다.
2개 노선은 양산 북정역~KTX울산역~울산 신복로타리로 이어지는 총 길이 40.4km와 부산 노포동~양산 웅상~울산 무거동을 잇는 총 길이 33.6km다. 이들 노선은 부산ㆍ울산ㆍ경남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는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한 것으로, 부ㆍ울ㆍ경 공동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2개 노선 모두 경제성을 평가하는 B/C(비용 대비 편익) 수치가 기준치에 미달한다. 광역철도는 사업 필요성을 인정받아 국토부 투자 심의를 통과하더라도, 마지막 단계인 기획재정부 최종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평가받으면 사실상 선정되기 어렵다. 때문에 국토부 대광위가 제시한 새로운 노선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도 있는 상황.
양산시는 “부산 노포동~양산 웅상~울산 무거동에서 연장해 KTX울산역까지 이어진다면 B/C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사업 선정 가능성이 커지는 셈”이라면서도 “하지만 부산~양산~울산을 순환하는 광역철도망을 구축하기 위해 양산 북정역~KTX울산역 사업도 반영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