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표병호 경남도의원 | ||
ⓒ 양산시민신문 |
이 조례안은 경남에서 국외로 반출된 우리 문화재 보호ㆍ환수를 위해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실태 조사, 관계기관ㆍ단체와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등 국외 소재 문화재를 보호하고, 환수활동을 지원하는 근거를 규정하고 있다.
표 의원은 “경남도 국외 반출 문화재는 모두 681점으로, 특히 5세기 삼국시대 고분인 양산부부총은 1920년 일본인에 의해 발굴돼 489점의 출토유물이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라며 “이렇듯 세계 각지에 흩어져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한 우리 문화재는 반드시 되찾아와야만 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이번 조례 제정으로 문화재 환수 관계기관ㆍ민간단체와 협조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또, 문화재 환수활동을 위한 자료 제공은 물론, 아직 밝혀지지 않은 국외 소재 문화재 실태조사와 보호ㆍ환수ㆍ국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홍보체계 등이 예산의 범위 안에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 |
↑↑ 양산부부총 발굴 당시 모습 |
ⓒ 양산시민신문 |
표 의원은 “과거 역사일 뿐만 아니라 현재 자산이며, 미래에 물려줘야 할 보물인 우리 문화재의 체계적 관리와 환수는 중요한 과제”라며 “국외에 소재한 우리 문화재 환수활동이 활성화돼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남문화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경남도의회는 경남의 역사와 문화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산부부총은 6세기 신라 시대 것으로 추정하는 부부 합장묘로, 사적 제93호인 북정동 고분군에 있는 무덤 중 가장 큰 규모다. 1920년 당시 조선총독부에 속한 일본인에 의해 무단 발굴됐고, 출토된 유물 가운데 489점이 일본으로 반출됐다. 이에 2007년부터 양산시와 시민들은 양산유물환수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시민 10만 서명운동을 펼치는 등 유물환수 운동을 벌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