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슬기로운 명상생활] 다섯 가지 마음 닦는 법: 부정관(不..
오피니언

[슬기로운 명상생활] 다섯 가지 마음 닦는 법: 부정관(不淨觀)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21/05/11 14:08 수정 2021.05.11 02:08

↑↑ 박대성 원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원불교 교무, 명상ㆍ상담전문가)
ⓒ 양산시민신문

마음의 다섯 가지 부정적 요인을 멈추게 하는 ‘오정심관’(五停心觀)이라는 명상법이 있다. 우선, 첫 번째는 탐욕(貪心)이 강한 사람에게 시신이 부패하는 모습을 정밀하게 관하게 하는 ‘부정관’(不淨觀)이다. 두 번째는 화(嗔心)가 많은 사람에게 일체 중생의 행복과 평온을 염원하는 ‘자비관’(慈悲觀)이다. 세 번째는 지혜가 부족하고 어리석은 마음(痴心)이 강한 사람에게 원인과 조건으로 이어진 우주의 실상인 ‘연기’의 이치를 관하게 하는 ‘인연관’(因緣觀)이다. 네 번째는 ‘나’라고 하는 것(ego)에 대한 집착이 강한 사람에게 나라는 존재가 지ㆍ수ㆍ화ㆍ풍의 사대(四大)와 안ㆍ이ㆍ비ㆍ설ㆍ신의 육근(六根)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통찰하게 하는 ‘계분별관’(界分別觀)이다. 마지막은 산란심이 강하고 주의력이 약한 사람에게 호흡을 헤아리게 하는 ‘수식관’(數息觀)이다.

이 오정심관은 자신의 삶을 지배하는 부정적인 핵심 감정과 번뇌의 유형에 따라 닦게 이끄는 맞춤형 명상으로 볼 수 있다. 우선, 부정관은 시체가 썩는 과정이나 우리 몸의 더러운 부분을 관찰해 몸에 대한 애착이나 감각적 욕망 등을 끊는 수행법으로 ‘죽음 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부터 인도는 화장(火葬)이나 풍장(風葬)으로 장례를 치렀기 때문에 시신을 목격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또한, 습한 기후 때문에 시신이 금방 부패했으므로 부정관을 닦기가 지금보다 수월했다. 시신을 가까이 접하기 어려운 현대의 수행자들은 병원이나 장례식장 또는 시신의 사진을 걸어놓고 부정관을 닦는 경우가 있다. 필자도 몇 년 전 태국의 한 사찰에 있는 명상센터 벽에 걸린 부패하는 시신의 사진을 보고 여러 가지 감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붓다 당시에 부정관은 독신으로 수행해야 하는 수행자들이 갖게 될 이성에 대한 음심(淫心)을 제거하기 위해 강조된 수행법이다. 시신이 부패해가는 과정을 자세하게 관찰하게 되면 나중에도 이 모습이 선명하게 떠올라 자신이나 타인의 몸에 대한 육체적 욕망이나 애착이 끊어지게 된다고 한다. 인간의 육체와 현세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갖는 우리나라와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에서는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 수행법이기도 하다. 또한, 죽음이라는 주제가 주는 강렬한 인상만큼 시신을 접하기 힘든 현대인에게는 충격을 줄 수 있는 명상이라 적극적으로 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간이라면 누구나 죽음을 피할 수 없다. 죽음이 언제고 나에게 당도할 것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고대 로마에서는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복귀하는 장군이 시가행진을 할 때 노예를 시켜 행렬 뒤에서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라고 외치게 했다고 한다. 라틴어로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이다. 오늘은 승리했지만, 내일 패배해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함이었다. 죽음을 관조할수록 삶도 성장하게 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