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교통시설 확충 늦어진 사송신도시, 정부 ‘광역교통 개선지구..
사회

교통시설 확충 늦어진 사송신도시, 정부 ‘광역교통 개선지구’ 선정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22/10/13 11:20 수정 2022.10.13 11:35
국토부 대광위, 광역교통 개선 집중관리지역 지정
도시철도, 나들목 설치 등 늦어진 동면 사송 포함
시내ㆍ마을버스 증차ㆍ신설 등 이동 편의 대책 마련

양산 동면 사송신도시 전경. [양산시/사진 제공]

양산도시철도와 하이패스나들목 등 교통시설 확충이 늦어지는 동면 사송신도시가 광역교통 개선 집중관리지구로 선정돼 정부가 교통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12일 신도시 등 광역교통 불편을 줄이기 위해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대광위는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광역교통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광역교통개선대책 제도를 도입해 지구별로 대책을 수립ㆍ시행하고 있지만, 사업 지연 등으로 입주 시기와 광역교통 확충 시기 간 차이가 발생하는 등 교통 불편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광위는 특별대책지구 지정이 가능한 지구와 교통서비스 하위 지구 등 모두 37곳을 광역교통 개선 집중관리지구로 선정했다.

이 가운데 동면 사송신도시는 특별대책지구에 포함됐다. 특별대책지구는 이미 입주를 시작했거나 1년 내 입주가 예정된 지구 가운데 철도 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되는 등 교통난이 특히 심각하다고 판단된 지역으로 모두 24곳을 선정했다. 수도권이 21곳, 지방권은 사송을 포함해 대전 서남부ㆍ대전 학하 등 3곳뿐이다.

실제, 동면 사송신도시는 도시를 관통하는 양산도시철도 사업과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사송 하이패스나들목 사업이 수년째 지연돼 교통난이 예상되는 상황.

양산도시철도는 부산도시철도 1호선 연장선으로, 부산 노포역에서 사송신도시를 거쳐 북정역까지 총연장 11.4km 규모다. 애초 2020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에 들어갔지만, 일부 구간 공사 기간 부족과 막대한 공사비 증액 문제 등으로 수차례 연기됐다. 현재는 2024년 공사를 완료하고 시운전에 들어가 2026년 초에 개통할 계획이다.

사송 하이패스나들목(IC) 역시 사업비 부담으로 3년째 표류 중이다. 2019년 6월부터 논의한 이 사업은 타당성 용역을 통해 충분한 경제성(B/C 2.3)이 있는 것으로 판단됐지만,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비 전액을 부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설치 시점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동면 사송신도시는 민간임대아파트 10개 단지와 공공임대아파트 10개 단지 등 모두 20개 단지 1만4천477세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430세대가 들어서 3만7천여명을 수용하는 계획도시다. 지난해 사송더샵데시앙1차를 시작으로 현재 1천700여세대가 입주해 생활하고 있고, 오는 11월 사송 신혼희망타운1차와 내년 초 사송더샵데시앙2차 입주까지 시작되면 교통난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이에 정부는 동면 사송신도시를 포함한 집중관리지역에 교통시설이 확충되기 전까지 단기 대책으로 광역버스 증차ㆍ신설 등으로 주요 도시 간 광역통행 편의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시내ㆍ마을버스 증차ㆍ신설을 통해 지구 내 이동 편의도 개선하기로 했다. 또, 운행노선ㆍ횟수 등 탄력적 운용이 가능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도입 등을 통해 입주 초기, 출ㆍ퇴근 시간대 등 불균형 수요에도 대응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