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산시청 전경. [양산시민신문/자료사진] |
양산 최초 종합장사시설 설립을 위한 행보가 본격화됐다. 공모를 통해 올해 안에 위치를 선정한 뒤 화장시설과 자연장치, 장례식장 등을 갖춘 공원형 종합장사시설 형태로 이르면 2028년 준공할 계획이다.
양산시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양산지역 사망자 1천775명 가운데 1천678명이 화장했다. 화장률 94.5%로, 사망자 10명 가운데 9명이 넘게 화장을 택한 셈이다. 전국 평균 화장률 90.1%보다 높은 수치다.
양산시민이 이렇게 화장을 선호하지만, 화장로를 갖춘 화장시설이 없어 인근 지자체에 ‘원정 화장’을 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지자체는 해당 지역민에게 우선권을 주는 것은 물론, 비용 역시 2~3배 높게 받고 있다. 이에 양산시가 시비를 들여 양산시민에게 화장장려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용 뒷순위로 밀려 삼일장을 제대로 치르지 못하는 설움은 계속되고 있다.
이에 양산시는 지난해 9월 <종합장사시설 설치 조례 및 기금 설치 조례>를 제정해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그리고 내달 시민대표와 관련 전문가 등으로 가칭 ‘양산시 종합장사시설 설치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설립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양산시는 10만㎡ 규모 터에 화장시설, 자연장지, 장례식장, 부대시설 등을 갖춘 공원형 종합장사시설로 밑그림을 그렸다. 단, 사설 봉안당에 여유가 충분한 상태여서 유골을 안치하는 봉안시설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설립지는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비선호시설로 인해 자칫 집단민원이 발생할 수 있기에, 별도 주민지원기금을 설치해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으로 지역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올해 안에 최종 설립지가 설정되면 지방재정투자심사, 공유재산관리계획 등 행정절차를 거쳐 2026년 착공해 2028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산시는 “<양산시 화장장려금 지원조례>를 통해 비용을 지원하고, 인근 화장시설에 양산시민 전용시설 설치를 건의하는 등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지역 내 화장시설을 갖추는 것”이라며 “주민소득 증대, 고용 창출, 주변 환경정비 등을 통해 반대 민원을 해소하고, 친환경 최첨단 설비를 갖춘 공원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