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울경 첨단산업전략 무엇을 할 것인가’ 집중 토론회. [김두관 의원실 제공] |
첨단산업전략으로 부산ㆍ울산ㆍ경남 100년 먹거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26일 국회에서 ‘부울경 첨단산업전략 무엇을 할 것인가-100년 지역 먹거리 마련을 위한 집중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김두관 국회의원(민주, 양산 을)이 주관하고, 김두관ㆍ김정호ㆍ민홍철ㆍ박재호ㆍ이상헌ㆍ전재수ㆍ최인호 의원과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토론회는 김윤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남종석 경남연구원 연구위원, 김선배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와 윤상환 창원대학교 교수, 김건혁 산업부 반도체과 서기관, 정형구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단장, 정홍식 유니스트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장, 김승철 경남테크노파크 단장 토론으로 진행했다.
현재 국회에는 첨단전략산업특별위원회가 발족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수도권에 이은 최대 경제산업 권역인 부울경에 걸맞은 첨단산업전략이 부재하고, 실천적 과제도 제대로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 자동차, 철강, 조선 등 제조업 중심이었던 부울경지역 산업의 질적 도약을 위한 첨단산업전략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토론을 통해 실질적인 과제를 확정하는 방안을 찾고자 마련한 것.
토론회 발제를 맡은 김윤수 선임연구위원은 기업 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클러스터 유형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품목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부산의 ICT 기반 기술과 울산, 경남의 제조업이 어우러져 네트워크를 이루며 산업 분업이 적절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종석 연구위원은 ‘동남권 산업 전환 방향과 미래’를 주제로 발제에 나서 탈탄소, 에너지 전환, 생산의 디지털화, 이주 노동력 공급, 군수 전략산업 등을 제안했으며, 에너지체제 전환에 따른 중공업 기회 요인도 아울러 검토했다. 또한, 김선배 선임연구위원은 남해안권 전체로 시각을 넓혀 국가 차원의 산업 비전을 제시하고, 중국에 대한 대안적 공급망 재편에 대한 대응을 주장했다.
국회 첨단전략산업특별위원회 위원이자 토론회를 주관한 김두관 의원은 “첨단제조업 부문은 대한민국 경제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며 “초격차 기술 확보와 혁신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 구축과 생태계 구축이 핵심 전략으로 거론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부울경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산업 인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물적 인프라가 가장 풍부한 지역으로, 더 늦기 전에 전략과 투자, 실행 방안을 마련하도록 우리가 먼저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