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산동에 있는 한 아파트 입주민들은 최근 시공사인 ㅎ건설이 단지 내 미분양 아파트 400여세대를 대한주택공사에 매각해 30년 임대아파트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정부 매입 가격이 애초 분양가의 절반 정도에 불과해 기존 분양자들의 재산손실은 물론, 전체 1천600여세대 가운데 25% 가량이 임대로 전환되면 아파트 가치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결국 분양아파트가 아니라 임대아파트로 전락한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다.
실제로 임대로 전환되면 아파트는 세대당 수천만원이 떨어지는 등 분양자들의 재산권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이런 소식이 알려지면서 전세와 매매 등 가격이 벌써부터 크게 떨어지고 문의도 줄어 들고 있다.
입주민들은 또 정부와 건설사의 태도를 문제 삼고 있다. 정부의 경우 건설업계의 자금 유동성만 고려했지 입주민들의 재산권은 무시했으며, ㅎ건설은 주공에 아파트 매각을 추진하면서 입주민들의 양해와 동의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는 것이다.
임대전환 소식이 알려진 뒤 이미 지난 11월 13일 주공으로 등기이전이 완료된 사실이 드러나 주민들은 더욱 분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만들고 집회와 손해배상소송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재산권을 지키겠다며 본격적인 실력행사에 나서기로 했다. 일부 입주민들은 변호사 등을 통해 법률적인 자문을 구하고, 소송에 참여할 입주민들의 동의를 얻는 등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 입주민은 "현재 상황에서 소송에서 이긴다 진다 말하는 것조차 불가능하지만 재산권 침해를 조금이라도 막기 위해서는 계약해지와 임대전환에 따른 소송을 반드시 해야 한다"면서 "가만히 앉아서 당하고 있으려니 너무 억울할 뿐이다. 정부는 건설사만 보호하고, 건설사는 입주민을 위하는 마음이 털끝만큼도 없고…"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이에 대해 ㅎ건설은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건설경기의 급격한 하락으로 미분양 아파트 적체로 인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득이 주공에 일부 세대를 매각했다"며 "이런 결정을 내리게 돼 입주민들에게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양산지역의 경우 준공 전후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20여개 사업장에 5천세대를 넘고 있는데다 정부가 내년까지 2조원 가량의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하기로 했고, 건설사들이 미분양 해소를 위해 임대전환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 이미 분양받은 주민들의 반발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