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오광중 교수는 4일 소주동주민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웅상환경시설 주민지원금 운영협의회 대기질 오염조사 최종 보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지만 오 교수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연평균 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며 저감시설을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대기질 오염 조사 과정
웅상환경시설 주민지원금 운영협의회(위원장 고상길)는 웅상지역 소각로업체 두 곳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피해정도와 저감방안 등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대 환경공학과 오광중 교수 연구팀에게 조사를 의뢰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지난해 6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7개월 동안 소주공업지구 내 소각로업체 인근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과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
연구팀은 소각로업체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의 확산현상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자동기상관측장비(AWS),자동측정차량 등을 설치ㆍ운영했으며,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지점에 대한 대기질자동측정과 미니볼룸에어샘플러를 이용해 오염정도를 측정했다.
특히, 부산ㆍ울산지역 기상대 자료와 AWS에서 수집한 자료를 비교ㆍ분석해 온도, 풍속, 풍향 등에 대한 웅상지역 국지적 기상자료를 확보해 조사의 정확성을 높였다.
![]() |
↑↑ 대기에 의한 확산정도가 약해 폐기물중간처리업체 두 곳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겨울철 대기질 예측 결과 소주공단 일대를 제외하면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하게 표시된 곳은 미세먼지 연간 기준 50㎍/㎥ 이상인 지역. |
ⓒ 양산시민신문 |
AWS와 자동측정차량, 미니볼룸에어샘플러 등을 이용해 소주공단 입구 상가와 영산대 남쪽 주거지역, 웅상문화체육센터 등 7곳을 측정지역으로 선정하고 미세먼지(PM-10) 예측농도를 조사한 결과 자동측정차량을 이용해 조사한 4곳에서는 웅상문화체육센터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51~76㎍/㎥로 나타났다. 또 미니볼룸에어샘플러를 이용해 조사한 3곳에서는 54~89㎍/㎥로 조사돼 일일 환경기준인 100㎍/㎥를 만족했다. 하지만 연간 기준인 50㎍/㎥를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오 교수는 "정확한 수치는 일 년 동안 조사를 세밀히 진행해봐야 안다"면서도 "여름과 겨울철에 연간 기준치를 넘을 가능성은 있지만 크게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조사된 미세먼지 농도 가운데 소각로업체 두 곳을 제외한 소주공단 입주 업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 가중치가 6~15㎍/㎥로 조사됐고, 국도7호선 통행 차량(이동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5~10㎍/㎥가량으로 실제 소각로업체 두 곳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우려할 정도로 높지 않다는 설명이다.
계절별 결과에서는 높은 온도로 인해 대기 중 확산이 잘 되는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지역 가운데 소각로업체와 2km가량 떨어진 웅상문화체육센터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돼 소주공단 일대와 서창동 일부를 제외하면 나머지 서창ㆍ평산ㆍ덕계동은 영향권 밖인 것으로 분석됐다.
미세먼지 농도 저감대책
연구팀은 소각로업체 두 곳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를 줄이기 위해 소각장 굴뚝을 높이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굴뚝 높이를 5~10m 높일 경우 대기에 의한 미세먼지의 확산을 활성화시켜 전체적으로 농도를 3~13㎍/㎥가량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소각로업체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방지하고 주민들의 시각적 효과를 위해 먼지날림 방지 덮개를 설치하고, 울퉁불퉁한 도로를 보수해 차량에 의한 2차 미세먼지 발생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소각로업체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 불가능한 시점에서 굴뚝을 높이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다만 굴뚝 1m 높이는데 1천300만원가량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업체와 행정, 정치권에서 지혜를 모아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소주공업지구 인근 주거지역은 소각로업체 두 곳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오염이라기보다 공업지구 입주업체와 차량 등 복합적인 영향으로 연간 기준치인 50㎍/㎥를 넘기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 지역에 대한 대기질 환경용량평가를 시급히 시행해 종합적인 장기저감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보고서 내용을 참고해 이른 시일 안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양산지역 전체 대기오염에 대한 분석결과가 4월께 나오면 전반적인 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