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앞 공공공지 주변 약국과 건물주들은 4월 말 세워진 펜스의 철거를 요구하며 울타리를 넘어 올라갈 수 있도록 계단을 설치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펜스 설치 이후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는 당사자들은 시청 홈페이지 게시판 '시장에게 바란다'를 통해 논쟁을 벌이면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지난달 2일부터 이달 1일까지 게시판에 올라온 민원 114건 가운데 공공공지 펜스와 관련한 민원이 35건에 이를 정도다.
도로변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한 업주는 "시가 판단할 일이지만, 펜스 철거는 공공공지 훼손을 방치하는 것"이라며 "공공공지와 맞닿은 약국들은 정문을 도로변으로 내고, 펜스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공공공지와 맞닿은 약국 업주는 "펜스가 설치될 줄 알았다면 입주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정상적으로 건축허가를 받아 만들어진 출입문이라 공공공지와 맞닿아도 문제될가 될지 몰랐다. 펜스를 설치한 뒤 매출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밖에 이아무개 씨는 '펜스 설치는 민사소송감'이라는 내용의 글을 남겼고 이에 강아무개 씨는 '펜스철거 소송을 하겠다? 어지간히 하라. 추하다'라고 답변하는 등 사건이 감정싸움으로 번진 지 오래다.
한편, 공공공지 주변 약국과 건물주들이 이처럼 펜스와 관련해 사활을 거는 이유는 펜스가 약국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 지역 점포의 경우 대부분 월세만 1천여만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약국 입장에서는 펜스 철거 설치ㆍ여부에 필사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열쇠를 지고 있는 시와 토지공사는 곤혹스러워하면서도 서로 책임미루기에 급급한 모습이다.
시는 현재 신도시 2단계지역 사업시행자가 토지공사이며, 시설 인수 이후 관련규정에 따라 관리ㆍ검토하겠다며 한발 물러서 있다. 토지공사 역시 인계 이후 시가 관리해야 하며, 펜스는 시가 요구해 설치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