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양산시민신문 |
16대까지 3선을 지낸 나오연 전 의원 이후 김양수 전 의원과 허범도 의원까지 두 번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모두 낙하산 공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지역사회의 밑바탕 정서에 침잠하지 못했던 두 인사는 결국 재공천 탈락, 의원직 박탈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런 과정에서 혹자는 중앙무대에서 지역 출신인사를 정치적으로 키워오지 못한 토양에 대해 지적하기도 한다. 지역에서 경쟁구도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양지만 좇던 기득권 세력이 결국은 유력한 대항마나 후계자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제 양산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 최근 노무현 정국 이후 대립의 각을 세워가고 있는 여야가 10월 28일 양산에서 불꽃튀는 격돌을 펼칠 가능성이 농후해지고 있다.
집권여당 대표가 출마 가능성에 불을 지피고 있는 가운데 영남의 수호여신 박근혜 전 대표의 지원을 염두에 둔 기존 정객들이 출마설을 흘리고 있고, 노무현 프리미엄을 잃지 않으려는 야당에서도 새 바람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향토애를 내세우며 낙하산 공천 반대의 기치를 내걸고 지역 인사들이 말몰이를 하고 있다.
이 참에 시민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지역주의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기로 하자. 국회의원의 지역출신 인센티브는 무엇인가. 머지 않아 지방행정체제의 대폭적인 개편이 전망되고 있는데 출신지역이 어느 범주를 말하는 건가. 지금의 기초지방자치단체는 대부분 100년 전 조선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생긴 역사적 개념이다. 우리가 쉽게 양산사람, 고성사람, 진주사람 하는 말은 바로 이 때 형성된 고을 출신을 일컫는 것이다. 그러면 더 나아가 경상도사람, 전라도사람, 강원도사람 하는 것은 또 무엇인가. 큰 틀에서 불리는 지방형태인 시ㆍ도는 그 나름대로 음식과 놀이, 주민의 성격 등을 특징지면서 또 다른 유대감을 다져왔다.
양산에서 지역사람이라고 일컬을 때는 첫째 이 고장에서 태어났어야 한다. 최소한 초등학교 정도는 지역에서 다녀야 하지만 그것은 더러 양해되기도 한다. 말하자면 선대의 뿌리가 이 곳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지역출신이 정계에 진출해야 한다는 논리는 중앙정치무대에서 지역의 이익을 대변해 노력하는 열정을 보다 많이 기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최근 양산의 위상이 크게 신장되면서 굵직한 국책사업의 후보에 이름을 올리며 정부 차원의 영향력 행사가 절실해지고 있는 것도 한 이유가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신도시 건설과 국립대학교의 유치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다. 당장 코 앞에 벌어지고 있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문제만 해도 그렇다. 정부부처에 영향력을 행사할 국회의원이 그 힘을 발휘하지 못한 현실이 아쉬움을 주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그렇다면 시민들이 기대하는 국회의원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후보는 어떤 사람이 될까. 중앙의 중량급 정치인이 좋은가 아니면 지역주민을 보듬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이웃같은 사람이 좋은가. 이에 대한 반응은 실로 다양하다. 지역발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집권당 중진이 필요하다고 하면서도 지역실정을 모르는 외부인사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무성하다. 정치적 역학관계에 따라 이리저리 몰려다니는 인사도 안되지만 지역 출신이라 해도 인품과 역량이 부족하면 곤란하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이 참에 시민들은 지역과 중앙을 함께 아우르는 새로운 인사가 나타나주기를 기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각에서는 양산의 10월 재선거가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의외의 결과를 낼 수도 있다고 조심스런 전망을 내놓는다. 지역의 민심이나 여론이 그동안 무시될대로 무시됐지만 이번만큼은 의외의 권리행사를 할지도 모른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지역출신 여부가 아니라 누가 흩어진 민심을 자기 편으로 모을 수 있느냐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예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