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산막산단 조성과정에서 호계마을 입구에 조성 중인 옹벽으로 17m 높이로 세워질 예정이다. 옹벽은 현재 공사 중으로 완공되면 옹벽 위에 있는 현수막 높이까지 이른다. |
ⓒ 양산시민신문 |
호계마을은 산막산단 조성공사 전까지 모두 80가구가 생활했으나 대부분 산업단지에 편입됐고, 현재 나머지 15가구, 40여명의 주민이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산업단지 조성 과정에서 세워지기 시작한 옹벽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의 옹벽은 시공사측이 현장 뒤편 야산을 깎아 지대가 낮은 곳으로 옮겨 평탄 부지를 조성하면서 만들어졌으며, 호계마을과 직선거리로 불과 100여m에 불과하다. 때문에 호계마을은 마을 입구에 거대한 옹벽과 마을 뒷산 사이에 파묻혀 버린 형국이 되고 말았다. 이로 인해 마을 전체가 공단부지에 비해 최소 10m 이상 낮은 저지대로 전락해 집중호우 때 침수피해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주민들은 “고층 아파트 높이의 옹벽을 마을 입구에 세우는데 명확한 주민설명회 한 번 하지 않았다”며 “마을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에 시나 시행사가 너무 무책임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현재 옹벽 높이를 낮춰줄 것을 요구한 주민들이 공사 차량의 현장 진입을 막으면서 공사가 중단돼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10일 공사 현장에서 호계마을 주민과 나동연 의원, 시행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시는 주민들이 애초 요구했던 옹벽의 높이를 낮추는 방안에 대해 설계상 도로망과 분양상황 등 여러 여건상 불가능하며, 현재 상황에서 시가 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고 밝혀 주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았다.
결국 주민들은 대안으로 마을 전체를 산업단지 부지로 수용하고 주민들의 이주 대책을 세워줄 것을 요구했고, 시는 관련부서와 시행사 등과 협의를 통해 방법을 찾기로 했다. 주민들은 시의 구체적인 답변이 있을 때까지 공사장 입구를 막고 농성을 이어갈 계획이다.
나동연(한나라, 중앙ㆍ삼성ㆍ강서) 의원은 “옹벽을 낮추는 것이 검토 후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났으면 마을을 수용해 주민들이 이주할 수 있게 돕는 등 시행사와 주민 사이에서 시가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함에도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대안이 없다면 공사를 중지해야 하고, 시의회도 주민들의 생존권 확보를 위해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선 문제해결 방법이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호계마을을 산업단지로 추가 편입하는 것으로 일단 가닥을 잡았지만 수용해야 하는 토지 매입가격이 42억여원에 이르는데다 수용 후 추가 산업단지로 조성할 수 있는 면적이 수용면적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난항이 예상된다.
![]()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