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통도사의 역사를 만나다
문화

통도사의 역사를 만나다

김대형 기자 e2dh100@ysnews.co.kr 360호 입력 2010/12/21 11:17 수정 2010.12.21 11:17
‘영축총림 통도사 근현대 불교사‘ 출간



ⓒ 양산시민신문
월하대종사 7주기 추모일을 맞은 영축총림 통도사(주지 정우)는 지난 16일 경내 설법전에서 통도사 선조스님들의 100년 행자기인 ‘영축총림 총도사 근현대 불교사-구하ㆍ경봉ㆍ월하ㆍ벽안 대종사를 중심으로’ 출판 봉정식과 출판 기념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 양산시민신문 
이날 발간된 ‘영축총림 통도사 근현대 불교사’는 선대의 스님을 중심으로 통도사의 110년을 정리했다. 상ㆍ하권으로 나뉘어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은 구하스님을 비롯해 교단 수호와 정화 이념을 강변하면서 한국불교사에 자취를 남긴 경봉, 월하, 벽안 대종사 등 통도사 선조 스님들의 일생이 수록돼 있다.

통도사가 선조 스님들의 행적을 뒤따라 근현대사를 재조명하게 된 계기는 구하 대종사가 친일반민족행위 조사대상자로 선정되었다는 통보를 받고 그 내용을 소명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한 것이었다. 결국 구하 대종사는 지난 2008년 4월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통도사 주지 정우 스님은 “구하 대종사에 대한 변질된 시각을 바로 잡고자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는데 그 과정에서 구하 대종사뿐만 아니라 선대 스님들의 많은 업적을 발견하게 되어 정리해 출판까지 이르렀다”며 “이번 출판을 계기로 우리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찾아가고 후학들을 위해 통도사의 모든 역사를 찾아내 책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남아있는 숙제다”고 밝혔다.
통도사 사적편찬실장 남현 스님은 “역사가 오늘의 사회와 지난날 사회와의 대화라고 할 때 이 책은 통도사의 선조스님과 지금 우리 후학들과의 대화이기도 하다”며 “이 책은 통도사의 전통과 역사를 찾는 출발 신호이다”고 말했다. 덧붙여 “오랜 기간 작업에도 불구하고 통도사의 미세한 변화와 발전을 모두 담지 못하고 110년간의 역사를 4명의 스님들의 행적을 중심으로 간 것이 약간의 아쉬움으로 남아 있다”고 출판 소감을 대신했다.
한편 ‘영축총림 통도사 근현대 불교사’는 판매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학교와 지자체, 불교대학, 도서관 등에 보내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