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차고지 이전 ‘입장 차’ 재확인..
행정

차고지 이전 ‘입장 차’ 재확인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370호 입력 2011/03/08 09:31 수정 2011.03.08 09:27
반대위ㆍ삼신교통 주장 팽팽, 합의점 도출 실패

시의원ㆍ웅발협 주민에 동조, 출장소는 ‘허가 유보’



↑↑ 반대위 이윤대(오른쪽 뒷모습) 위원장이 삼신교통 류원주(맨 왼쪽) 대표의 차고지 이전 주장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시내버스 차고지ㆍ가스충전소 이전과 관련, 지난 3일 오후 당사자들이 모두 모여 협상을 벌였지만 서로간의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결렬됐다.    

삼신교통명동이전설치반대위원회 이윤대ㆍ엄일훈 공동위원장과 삼신교통 류원주 대표, 서진부ㆍ정석자 시의원, 안효철 웅상출장소장 등은 이날 웅상출장소 회의실에서 4자회담을 열었으나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 반대위는 차고지ㆍ가스충전소 이전 절대 불가라는 입장을 다시 한 번 내세운 반면, 삼신교통은 주민들의 요구에 대해 사실상 거부 의사를 나타내며 팽팽히 맞섰다.

반대위는 “시내버스 차고지와 충전소가 주거지 한 가운데로 들어오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그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CNG버스 폭발 사고와 민원으로 인해 차고지 이전 허가가 취소된 사례를 나열하며 삼신교통을 압박했다.

삼신교통은 “8월까지 이전해야 하는 우리도 답답하다. 부산 시내버스로 준공영제라는 큰 틀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회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지난 10년 동안 단 한 건의 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반대위에서) 허가 취소 사례만 언급했는데, 허가된 사례도 있다”는 말로 맞섰다. 

반대위는 “삼신교통이 끝내 이전을 강행한다면 피를 토하는 강력한 투쟁에 부딪힐 것이며, 그 책임은 이 사태를 초래한 삼신교통에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삼신교통은 “만약 주민 반대에 부딪혀 이전을 못한 상황에서 여름 집중호우 때 현재 차고지가 침수되면 양산시가 보상해야 할 것”이라고 책임을 양산시에 떠넘기며 기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서진부 시의원은 삼신교통에 “현 추세는 (차고지가) 외곽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라며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해서 차고지 이전을 추진하기에 앞서 주민의 의견을 듣고, 외곽 이전을 적극 검토하라”고 당부했다. 정석자 의원도 “이 자리에서 찬성, 반대를 표하지는 않겠지만 행동을 보여 줄 것”이라며 “무엇보다 인간 존중이라는 가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며 삼신교통을 에둘러 압박했다.    

여기에 참관인 자격으로 참석한 웅상발전협의회 주명득 회장도 “아파트가 먼저 자리한 상황에서 차고지가 뒤늦게 이전하는 상황이라면 삼신교통이 더 많이 양보하는 것이 이치”라며 반대위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이에 대해 안효철 출장소장은 “첫 대면에서 문제를 모두 풀기는 어렵지만 주민과 삼신교통이 협의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며 “다만 공무원은 주민의 뜻에 반하는 행위를 할 수 없으며, 주민의 반대가 누그러들기 전까지 (가스충전소 설치와 차고지시설에 대한) 허가를 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