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덕계동에 따르면, 덕계동 700번지 외 85필지 약 15만㎡ 일대의 주변은 국도 7호선과 접한 곳으로 이미 주거와 상업지역과 농공단지, 일반산업단지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농지로서의 보존 가치가 상실된 만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주거ㆍ상업지역으로 풀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2월 말 현재 인구 1만2천93명으로 웅상지역 4개 동 가운데 가장 적은 덕계동은 부족한 주거지역을 원인으로 내세우고 있다. 대지의 절대적인 부족을 부추긴 것은 덕계구획정리사업의 지연이다. 덕계동 산 68번지 일원 20만9천33㎡ 부지에 대한 토지구획정리사업이 대지주인 Y사와 마찰을 빚으면서 16년간 법적 공방으로 지연되고 있어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사업을 마냥 기다릴 수만 없다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개발요구지역 남쪽에 인접하여 지난 달 일반산업단지 33만6천890㎡가 승인ㆍ고시되었다.
박아무개(51, 덕계동) 씨는 “현재 농업진흥구역 북쪽은 일반주거지역, 서쪽은 덕계 시가지 상업지역이 있고, 남쪽은 산업단지로 지정되어 해당지역이 농지로서의 보전가치는 상실한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요구대로 도시계획상 용도지역이 변경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양산시로서는 실현 가능한 개발계획이 뒤따르지 않은 상태에서 주거ㆍ상업지역으로 변경하는 것은 땅값만 올릴 가능성이 크므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공영개발이든 민간개발이든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경우 처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출장소에서 발주한 ‘웅상지역 장단기 종합발전용역’에 포함시켜 달라는 요구는 반영될 수 있다 하더라도 2020도시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시가화예정지 결정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럴 경우 덕계동 주민으로부터 거센 반발이 예상되고 공영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여 시로서는 어떤 방향으로든 추진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한편 웅상도시계획 재정비 사업은 현재 변경입안내용에 대한 공람을 끝내고 의견 수렴 결과를 첨부해 경남도 도시계획위원회에 승인 신청을 준비 중이다. 통례상 도시계획 재정비는 5년 주기로 시행되는데 이번 요구는 변경안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