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역경제 사정이 악화돼 파지를 줍기 위해 길거리로 나온 사람들이 급격히 늘면서 주택가 곳곳에 있는 파지창고가 화재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이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이다 보니 소화기 등 필수 소방장비를 갖추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 문제는 이 같은 파지창고가 인명사고를 부르는 큰 화재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이달 초순 다방동에 사는 한 주민이 자신의 재활용창고에서 쓰레기를 태우다 파지에 옮겨붙으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이나 큰 재산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자칫 큰 피해를 발생시킬 수도 있었던 상황이었다.
소방서 관계자는 “개인적으로 설치한 파지창고의 경우 시설물이 아니기에 소방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면서 “파지창고 화재로 인한 피해는 크지 않지만 인근 주택으로 번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소화기를 비치하는 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개인 파지창고 뿐만 아니라 파지를 처리하는 관련 업체도 화재 위험성을 안고 있지만 대부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다 실태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
시 관계자는 “양산지역에 있는 업체는 모두 영세 규모로 허가ㆍ신고 대상이 아니고, 별도의 분류 기준이 없어 실태 파악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