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교통 차고지ㆍ가스충전소 문제가 지난달 26일 삼신교통의 소송 취하로 마무리됐지만<본지 423호, 2012년 4월 3일자>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행정의 대응에 대해 시와 시의회가 엇갈린 평가를 내놓고 있다.
시는 지난 6일 보도자료를 내고 “(주민 입장에 선)주민밀착형 행정처리로 웅상지역 삼신교통 차고지 이전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해 눈길을 끌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가 문제 해결을 위해 웅상출장소 이동집무실에서 양측 대표자(삼신교통과 반대위)와 면담을 수차례 거치면서 합의점을 도출하는 한편, 행정의 난맥상을 하나하나 풀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의회는 이에 앞서 지난 4일 안효철 웅상출장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의원협의회에서 집행부의 민원 처리 방식에 대해 강하게 질타했다.
지난 2010년 삼신교통 문제가 불거질 당시 웅상발전협의회 등에서 ‘용당공영차고지 조성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했지만, 당시에는 ‘불가능하다’는 입장만 되풀이 하다 뒤늦게 용당공영차고지 건립을 조건으로 문제를 해결해 경남도 행정심판과, 울산지법 행정소송으로까지 번지는 등 행정력을 낭비했다는 것.
시의회는 또 저자세 행정으로 결과적으로 민원을 돈으로 해결한 셈이라며, 앞으로 시의 민원 해결 비용 한도가 30억원(용당공영차고지 건립 예상비용)이라는 소리가 나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예산이 수반되는 민원 해결 과정에서 예산을 심의하는 시의회와 공감대 형성 없이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한 것도 문제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