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부터 주5일제 수업이 전면 시행되면서 토요일에도 문을 여는 지역아동센터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토요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정부가 한 달에 40만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프로그램 운영비와 인건비 등으로 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선 지역아동센터는 토요일 운영 신청을 꺼리는 분위기다. 양산시지역아동센터협의회와 시에 따르면 양산지역에 있는 지역아동센터 17곳 가운데 단 3곳만 신청해 3월부터 12월까지 월 40만원씩 모두 400만원의 지원을 받는다.
ㄱ지역아동센터 관계자는 “정부 지원금이라고 해봐야 일주일에 10만원인 셈인데, 이 금액으로 프로그램 운영과 교사 인건비, 간식비 등을 충당하기가 어렵다”며 “이번에 신청한 지역아동센터 3곳은 모두 교회에서 함께 운영하고 있는 곳으로, 다른 지원이 없으면 토요프로그램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ㄴ지역아동센터 관계자는 “교사들이 토요일에 자원봉사하는 마음으로 보수를 받지 않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월 40만원의 지원금으로는 결국 가뜩이나 빠듯한 운영이 더 어려워지는 결과만 가져올 수도 있어 고민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상황이 이렇자 지역아동센터는 정부가 아닌 일반 기업이나 단체의 후원 방안을 찾고 있다.
지역아동센터협의회 관계자는 “결국 이는 정부가 주5일제 정책을 세부적인 준비 없이 추진하다 보니 발생한 일”이라며 “돈이 없다는 이유로 토요프로그램 운영을 접자니 아이들이 눈에 밟혀 마냥 손을 놓을 수도 없어 지역아동센터별로 자체적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정부 지원 외에 시 예산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법은 다른 단체와의 형평성 문제 등으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