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 원전사고 안전지대 아니다”..
사회

“양산, 원전사고 안전지대 아니다”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2/07/24 14:03 수정 2012.07.24 03:49
경남발전연구원, 방사선 비상구역 확대 필요성 지적

원전 반경 20km 내 웅상 전 지역과 동면 일부 포함




경남발전연구원 연구결과 양산 지역이 원자력사고 발생 시 위험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경상남도 정책개발기구인 경남발전연구원 김영규 박사는 지난 18일 발표한 ‘동남권 원자력발전소 사고 대응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서 현재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20km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원전시설을 보유한 모든 국가에서 원전사고에 대비해 발전소를 중심으로 사전 집중관리구역인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설정해 놓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일본 등 많은 국가에서 원자력 발전소에서 반경 20km 이내를 비상계획구역으로 설정하고 있는 반면, 고리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10km 이내로 설정돼 있어 이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인구 수, 기반시설, 외국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비상계획구역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영규 박사 주장대로 비상계획구역을 확대할 경우 양산지역은 전체 면적의 절반 가까운 부분이 포함된다. 웅상 전 지역과 동면 여락리 등 일부가 포함되는 해당 구역의 인구는 10만7천여명으로 양산지역 전체 인구의 1/3이 넘는 규모다.
 
IAEA 권고 기준이 30km임을 생각한다면 양산지역이 결코 원자력사고 안전지역이 아님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김 박사는 경남도의 원자력 비상 계획에 대해 “대응단계에서 긴급구조활동의 세부적인 임무와 수행 기관이 명시되지 않았으며, 지역 보건소의 인력장비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만큼 관련 의료기관과의 연계계획 수립이 보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학교나 마을회관 등을 활용한 대피주민 수용 계획, 주민 방사선 대처 교육 등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김 박사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경우 반지름 20km 안에 인구가 채 7만명도 되지 않았으나 그런 큰 피해와 혼란을 겪었는데 인구 100만명이 20km 안에 있는 고리원전에서 비슷한 사고가 난다면 어떻게 되겠느냐”며 “경남도의 현재 계획에서 복구단계는 아예 빠져있고 많은 부분이 중장기대책수립에 혼재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계획과 연계해 임무와 기관을 명확히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