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명분 잃은 하북스포츠파크
..
사회

명분 잃은 하북스포츠파크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3/03/26 09:13 수정 2013.03.26 09:13
늘어난 예산과 사찰 반대로 규모 절반 축소

동계 전지훈련지 활용한다던 경제 목표 실종



체육인구 유입을 통한 지역경제발전을 목표로 시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하북스포츠파크’ 사업이 그 규모가 절반으로 줄어들면서 사업 추진 명분을 잃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하북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은 관광지와 연계한 체육시설 조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기존 하북체육공원 일대에 운동장 시설 2개 면을 추가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를 통해 전국적으로 프로구단과 실업팀 등의 전지훈련을 유치해 지역경제 발전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시는 해당 사업을 추진하며 운동장 2개 면을 조성하는데 68억원의 비용을 예상했다. 하지만 구체적 사업 설계 과정에서 산림 절사면이 늘어나는 등 사업비가 최소 90억원, 최대 110억원 이상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여기에 주변 사찰의 반대로 부지 확보에 어려움까지 더해져 결국 시는 사업 규모를 절반으로 줄였다. 이에 지역민 사이에서는 사실상 전지훈련단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사업 명분을 잃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하북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은 추진 당시부터 무리한 사업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시가 지난 2009년 42억원의 예산을 들여 하북체육공원을 조성해 놓고 같은 지역에 3년 만에 또 다른 시설을 계획했기 때문이다. 특히 정작 스포츠파크와 연계한 숙박시설, 부대시설 등에 대한 계획이 뒷받침되지 않아 사업 실효성이 의심스럽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시는 사업 목적 달성에는 큰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하북체육공원(1개 면)과 새로 조성할 운동장 1개 면, 그리고 인근지역인 상북에 조성 예정인 다목적구장까지 합치면 총 3개 면의 운동장이 조성돼 스포츠파크 조성으로 기대하는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적은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덧붙여 “사찰측에서 환경문제 등을 이유로 반대를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유보다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당초 예상보다 많은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돼 시 재정여건을 고려해 사업을 축소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시의 설명에도 불구 사업추진 과정에 대한 비판이 만만찮다.

지역주민 박아무개(43, 하북면 지산리) 씨는 “시 설명대로라면 애초에 2개 면을 추진하지 않아도 됐다는 말 아니냐”며 “시청이 사찰측 반대를 설득하지 못해서 사업을 줄여놓고는 핑계거리를 찾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시가 이런저런 핑계로 사업 규모를 줄인다면 결국 스포츠파크 사업은 실패하게 될 것이고, 이는 결국 지역주민을 기만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