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 부산ㆍ울산 연계 중심역할 가능하다”..
사회

“양산, 부산ㆍ울산 연계 중심역할 가능하다”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3/05/28 09:34 수정 2013.05.28 09:34
울산발전연구원, 주변도시 기능적 연계 필요성 제기

생활권 중심의 도시권 설정 통해 경쟁력 강화해야



울산 주변지역 가운데 양산이 울산으로 출근하는 통근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산과 울산이 구조ㆍ기능적으로 밀접한 연계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울산발전연구원은 양산, 울산, 경주, 밀양 등 주변 도시 간 기능적 연계(중추도시권 형성)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울산발전연구원은 지난 22일 ‘울산 중심 중추도시권 설정과 도시발전 방안’이란 주제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박근혜 정부가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 ‘중추도시권’ 설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앞둔 가운데 울산 주변 도시 간 기능적 연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양산에서 울산으로 출근하는 인구는 약 8천100명으로 주변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산(해운대) 5천명, 경주와 기장군이 각각 3천명 수준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울산에서 주변지역으로 나가는 통근자 수는 경주가 1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양산은 1천800명 수준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주변지역에서 부산으로 들어가는 통근자는 김해가 2만2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양산은 1만6천명 수준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부산에서 주변지역으로 나가는 통근자 수 역시 김해가 가장 많은 3만9천명 수준으로 조사됐고, 양산은 3만2천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러한 내용을 통해 울산지역은 양산, 경주, 기장 등 주변지역과 기능ㆍ공간적 연계성이 높다며 박근혜 정부가 이들 도시를 중추도시권으로 설정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박근혜 정부에서 제시하는 지역발전정책이 단순 행정구역 중심에서 벗어나 생활권 중심의 도시권 설정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기존 광역경제권 테두리 안에서의 도시권 설정이 아니라 시ㆍ도경계를 넘어서는 도시권 설정이 가능하다는 전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발전연구원은 “양산이 두 대도시(부산, 울산)와 연계돼 있고 두 대도시가 인접해 있는 상황에서 울산과 부산을 하나의 대도시로 설정할 수 있다”며 “따라서 부산ㆍ울산권은 도시별로 분석한 연계권을 모두 포함해 도시권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