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석 국회의원이 한국전력이 지난 5년간 서울지역본부 직할구역 내 210개의 지하 전력케이블이 누전된 것을 확인하고도 51%에 해당하는 107개 누전점만 보강공사를 하고 나머지는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전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한전 관리 누전선로 504곳에 대해 100% 보강공사를 완료했다고 국회에 허위보고를 했다.
지하 전력케이블은 도시미관과 안전을 위해 1988년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설치되기 시작했고, 현재 지상 전력선로의 2%가 보급됐다.
한전은 전력 설비 지중구성에 따라 감전 예방효과가 크다고 주장하지만 땅 속의 누전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관리가 더 소홀하고, 잠재적으로 더 위험이 크다.
특히 지하선로 누전은 지상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도로 가드레일(인도와 차도 경계 부분)이 땅속의 누전되는 선로와 닿아 있는 경우 가드레일 전체에서 전류가 흘러 지나가는 보행자가 스치기만 해도 감전될 수 있다. 또 최근 국회 누전현장 확인 과정에서도 사람들의 통행이 잦은 인도 바닥에서 87v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발견되기도 했다. 만일 비가 오거나 물이 뿌려져 있는 경우 대규모 사고 위험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 2005년 6월 1일 부산에서 지중저압선로 누전으로 1명 사망했고, 2005년 6월 26일 인천에서도 지중저압선로 누전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윤 의원은 “한전이 누전된 사실과 위치를 파악하고도 이를 방치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고, 더구나 지하 누전점을 100% 보강공사했다고 국회에 허위자료까지 제출했다”며 “일벌백계해서 더 이상 누전으로 무고한 시민이 생명을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